방대본 “지하철, 버스 감염 가능성 낮아” vs 전문가 “방역소홀 땐 위험”

  • 뉴스1
  • 입력 2020년 3월 12일 17시 23분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 News1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 News1
방역당국이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이 높지 않다고 밝히자 감염·예방 전문가들은 우려를 나타냈다.

대중교통 내 감염 위험성이 장시간 밀집공간인 대구 신천지교회나 서울 구로 콜센터보다 크지는 않더라도 충분한 전파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장소·공간에 따른 상대적 감염 위험도는 낮아도 정부가 국민에게 철저한 개인방역 메시지를 주는 게 더 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12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전염 가능성이 높다고 얘기할 수 없다”며 “과도하게 불안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는 구로 콜센터 확진자 일부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수도권 교통망 내 감염 우려가 커지자 방역당국이 내놓은 입장이다.

권 부본부장은 “유럽의 질병관리기구는 증상이 있는 사람과 2m 이내에서 15분 이상 얘기를 하며 접촉을 했을 때, 세계보건기구(WHO) 등 각국 전문기구도 가족이나 직장 동료를 가까운 거리에서 접촉했을 때 감염 위험성이 높다고 본다”며 “(다만) 출퇴근길에 환자를 마주쳐서 감염되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상당히 낮게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방대본이 최초 확진자부터 이동동선을 공개할 때도 대중교통보다는 밀접 접촉이 발생한 지역 위주로 대개 공개를 해온 것”이라고 부연했다.

반면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대중교통 내 밀집규모에 따라 감염확률이 달라지겠지만 그 위험성은 충분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진호 인제대학교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대중교통 내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한다”며 “(상황에 따라 감염 위험성은 다르겠지만) 출퇴근 혼잡시간대 지하철 한칸에 200명가량 타고 있다고 가정하고, 그 안에 한 명의 확진자가 있다고 한다면 상당한 수가 감염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도 “수도권 지하철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 사람이 상당히 많고 상당수가 40~50분씩 이용해 노출시간이 길다. 또 지하철 내부는 공기순환도 좋지 않다”며 “(이런 환경에서) 확진자가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을 때 (특정인이) 출퇴근 시간 때 그와 마주보고 장시간 이동한다면 (감염확률이) 100%도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대중교통이) 신천지교회나 구로 콜센터, 노래방 만큼 폐쇄된 공간 만큼의 감염 위험성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감염 확률이) 낮다고 할 수는 없다”며 “따라서 출퇴근 시간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는 마스크를 쓰는 게 정답”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방대본 발표 내용이 국민들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 교수는 “방역당국 발표가 (이번 콜센터 집단감염 사태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객들의 불안을 줄이기 위한 의도라 하더라도 일반인들은 이를 호도할 가능성이 크다”며 “(집단감염이 확산하는) 이 단계에서 방역당국이 시민들을 상대로 대중교통 내 감염 위험성이 낮다고 얘기하는 건 잘못된 개인방역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역당국은 시민들에게 방역은 최대치로 하는 게 기본적인 입장이고 주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게 더 맞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