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장기전’이 될 것이란 예측이 ‘기정사실’로 자리잡았다. 전세계적으로 확산일로를 걷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에 한국이 다시 노출된다면 걷잡을 수 없다는 위기 의식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제 정부는 대구·경북과 중국으로부터 시작된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주력했던 ‘단기전’을 끝내고,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국내에서의 소규모 집단감염을 막는데 주력하는 한편 세계적인 대유행이 된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한국이 ‘희생’되지 않도록 방어벽을 구축하는 ‘장기전’에 돌입했다.
코로나19는 이미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접어들었다. 16일 전 세계 15개 국가에서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정부가 지난 13일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데 이어 15일 스페인,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에 정부는 이날 오전 0시를 기해 특별입국절차 대상을 유럽 전역으로 늘렸다. 전날(15일) 프랑스, 독일, 스페인, 영국, 네덜란드 등 유럽 5개국에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한지 하루 만에 시행한 조치다.
정부는 한 때 중국에 국한됐던 코로나19 전선이 전세계적으로 확대된 것에 주목한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14일 “오히려 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대유행에 접어든 해외로부터의 유입도 막아야 할 형편”이라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 총리의 발언은 전세계에 퍼져있던 확진자들이 국내에 들어올 경우 한 때 잦아들었던 코로나19 사태가 신천지 신도 1명으로 끝없이 폭증했던 과거의 사례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이 반영됐다. 해외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낮은 수준’의 소규모 집단감염으로 느슨해질 수 있는 방역 대책에 더욱 고삐를 죄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적으로 그 경로를 확인하기 어려운 감염이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감염경로가 대구 지역으로 확인이 됐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어디에서 어떻게 일어날지 몰라 경로 추적도 힘든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폭증세가 잦아들고 완치자가 늘어나자 일부 교회에서 예배를 강행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경각심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나 백신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확산세가 언제 다시 커질지 모르는 만큼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방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백신 같은 방법으로 인해서 항체를 강제로 생성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회적 거리두기나 개인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코로나19를 지역사회 전파로부터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완전 종식은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앞으로의 방어 태세를 더 단단히 구축해야할 근거로 작용한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최근 의료 유튜브 채널인 ‘K-헬스로그’에서 “우리나라는 좁은 사회이고 교류도 많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다는 개념 없이 낮은 수준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전 세계가 비슷한 수준으로 가라앉지 않고 끝나지 않을 것”이라 전망했다.
강철인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5일 대한의사협회(의협) 코로나19 대책본부 전문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신천지 집단감염’ 같은 사고만 없다면 (확진자 발생이) 현재 정도에서 유지되거나 좀더 줄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와는 다르게 코로나19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짧게는 올해 상반기, 길게는 올 한 해 코로나19와 살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 교수와 김창수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코로나19가 ‘장기전’으로 돌입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현재 사회에서 수행 중인 ‘시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대책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대책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