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등 지정… 오염물질 배출 방지시설 설치 도와
5만여대 차량 배출가스 저감사업도
6600여 곳에 이르는 제조업체가 입주해 있는 인천 남동구 남동국가산업단지. 1980년대에 조성된 남동산단에는 10만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김영국 채널A 스마트리포터 press82@donga.com
매년 봄이 오면 인천 지역에는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다.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데다 산업단지가 유난히 많다. 지난해 기준으로 남동과 주안, 부평 등 3개 국가산업단지에서 8700여 업체가 생산 활동을 벌이고 있다. 또 인천기계산업단지를 포함해 14개 지방산업단지에 2000개 업체가 둥지를 틀고 있다. 이처럼 많은 산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때문에 인천은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오염 수준이 매우 심각한 도시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
인천시가 올해 1814억 원을 들여 대기질 개선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과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을 지정하고, 운행차량 배출가스 저감 등의 분야로 나눠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우선 정부의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에 따른 공공부문 차량 2부제를 시행하고 있다. 계절관리제는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12월∼이듬해 3월을 특별대책 기간으로 삼아 2부제를 실시하고, 배출사업장을 집중 단속한다.
시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인천 지역 4개 정부 공기업으로 구성된 인천클린공사협의회와의 환경개선 자율협약(1단계)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을 1543t 감축한 데 이어 올해 2단계 사업에 들어간다. 2024년까지 공항과 항만을 오가는 항공기와 선박, 이들 시설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배출가스를 낮춰 대기환경 개선을 유도하기로 했다.
소규모 사업장에는 오염물질 배출 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도로 19곳(63.5km)을 특별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불법배출 감시단을 운영한다.
시에 등록된 차량 가운데 5만4230여 대를 대상으로 배출가스 저감 사업에 나선다. 지난해보다 1만 대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기 폐차 지원 사업과 노후 건설기계 엔진 교체, 공해저감장치 부착 등이다. 지난해 주요 도로 22개 지점(감시카메라 44대)에 설치한 배출가스(5등급) 차량 운행제한 시스템을 활용해 올해부터 단속을 시작한다. 수도권에서 배출된 각종 폐기물을 실은 덤프트럭이 하루 평균 900여 대가 드나드는 수도권매립지에서 매연 단속을 실시한다. 이 밖에 산단이 밀집한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는 악취 민원을 줄이기 위해 도심 지역인 8개 구를 대상으로 악취 실태조사를 한다.
조현오 인천시 대기보전과장은 “대기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미세먼지와 악취를 줄여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