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아직 안정기에 들지 못 하면서 정부가 오는 5일 종료 예정인 ‘사회적 거리두기’ 방안을 사실상 연장하기로 했다. 정부는 연장 기간과 높은 국민 피로도에 따른 일부 방식 변경 등의 내용을 이번 주말 이전에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세계 코로나19 대유행이 만연하고, 국내서도 해외 유입을 통한 확진사례, 소규모 집단감염이 지속되고 있어 현재로선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할 필요성이 상당하다”고 밝혔다.
김 1총괄조정관은 “가능하면 주말 이전에 관련 내용들을 정리해 국민들에게 앞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진행 방안을 설명하겠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앞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는 감염을 다시 확산시킬 위험이 있다”며 “빠른 시일 내 의견 수렴과 정부 논의를 거쳐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떻게 지속할 것인지 국민에게 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당초 이달 5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한 뒤 일상생활 속에서 방역을 하기 위한 ‘생활방역 체계’ 전환을 계획해왔다. 하지만 매일 신규 확진자가 100명 내외로 발생하면서 좀처럼 안정적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자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정부가 각 사업장과 직원, 일반 국민,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세운 방역활동이다. 사실상 전국민에게 방역 동참을 호소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도 발표했다. 참여기간은 지난달 22일부터 4월5일까지 15일로 뒀다. 이를 통해 당초 계획했던 4월6일 초·중·고교 개학을 진행하겠다는 목표였다. 이후 안정화가 되면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관련 지침도 마련 중이다. 정부는 개학을 9일로 연기하고 온라인 수업부터 진행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정부는 앞으로 연장될 사회적 거리두기가 종료될 때를 대비한 생활방역체계 전환 준비도 별도로 마련 중이다.
김 1총괄조정관은 “생활방역은 앞으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 이후 일상 방역으로 안착시키는 단계서 필요한 사안”이라며 “일상생활에서 이해하기 쉽고 매우 구체적인 형태로 지침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이어 “실제 국민들이 직접 참여해 지킬 수 있으면서 새로운 관습으로 정착돼야 하는 숙제를 갖기 때문에 충분한 논의와 이해,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을 통해 의견이 모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