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올 가을 2차 유행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정부가 이를 대비하기 위해 ‘집단감염 감시체계 가동’을 최우선 방안으로 두고 있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8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2차 유행을 대비해 다각적으로 중장기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2차 유행이 안 오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하고 지속적인 억제와 사전 차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매우 큰 만큼, 정부는 집단발생 방지에 무게를 두고 있다.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코로나19의 특성상 한 번 집단발병이 시작되면 급속도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며 ”여러 곳의 감시체계를 작동시키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테면 정부는 지난 17일부터 수도권지역 요양병원과 관련해 10명 단위 취합검사를 통한 표본조사를 시행하는 등 ’조용한 전파 찾기‘를 이어가고 있다. 종사자와 간병인, 최근 2주내 입원환자 그리고 기입원환자 중 유증상자가 검사 대상으로, 혹시 모를 집단감염 사태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중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앞서 한꺼번에 많은 검체를 빨리 검사할 수 있는 ’취합검사법(Pooling)‘ 프로토콜을 마련하기도 했다.
취합검사법은 여러 명의 검체를 혼합, 1개 검체로 만들어 검사하는 방식이다. 검사결과 양성이 나올 경우 남은 검체를 개별 재검사해 감염여부를 최종 확인한다. 다만 음성이면 재검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러 명의 검사를 한 번에 마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검사법은 이주노동자, 입대 훈련소 등에도 적용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집단감염 취약지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또 정부는 쪽방 거주자와 노숙인, 외국인 근로자 등 의료체계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방역조치 방안도 이번 주 중으로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아직 치료제와 백신이 없는 만큼, 국민들의 방역지침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맑고 따뜻한 봄 날씨가 계속되고 있고 긴 연휴기간도 다가오고 있지만 5월5일까지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고 있다“며 ”가급적 모임이나 행사, 여행 등은 자제하고 친목모임이나 회식도 삼가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