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별세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심미자 할머니는 2006년 작성한 유언장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당시 사무총장이던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당선자를 직접적으로 비난했다.
심 할머니는 7000여 쪽의 유언장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피 빨아먹고 이를 팔아 긁어모은 후원금은 정대협 윤미향에게 지불해도 우리에게는 한 푼도 안 돌아왔다”며 “윤미향은 수십 개 통장을 만들어 전 세계에서 후원금을 받아 부귀영화를 누리고 떵떵거렸다”고 했다.
유언장 작성 2년 전인 2004년에도 심 할머니는 정대협과 윤 당선자에게 기부금 사용처를 명백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심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33명은 같은 해 1월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심 할머니 등은 성명서에서 “지금까지 당신들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답시고 전국 각처에서 손을 빌려 거둬들인 성금이나 모금액이 전부 얼마냐. 그 많은 돈 대체 어디에 사용했느냐”고 물었다. 이어 “당신들이 거둬들인 성금이나 모금으로 수혜를 받은 적 없다”며 “당장 고해성사하고 국민들의 호주머니를 턴 돈을 토해낼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정대협이 주축이 돼 국민 성금을 모아 2016년 세운 ‘위안부 할머니 기림비’에는 심 할머니의 이름이 빠져있는 사실도 확인됐다. 정대협 등 시민단체들은 그해 8월 서울 중구에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를 조성하고, 여기에 위안부 피해 할머니 247명의 성함과 증언을 새긴 조형물을 세웠다. 하지만 2004년 11월 일본 최고재판소로부터 처음으로 위안부 피해자로 인정받은 심 할머니는 명단에 없다.
서울시에 따르면 당시 위안부 피해 할머니 명단은 정대협이 작성했다. 윤 당선자가 대표를 지낼 때였다. 정대협 측은 “심 할머니가 빠진 건 맞다. 복잡한 사정이 있었다”고 답했다.
댓글 54
추천 많은 댓글
2020-05-19 17:06:27
할머니들 진짜 불쌍하다....젊어서는 일본에 유린당하고...숨어서 사시다가 고생하고, 늙어서는 이런자들에게 이용당하고 보상도 못받고.....생계형 시민단체들과 인권단체들 다 이런 모습인가? 이제 모금은 중단하고...자비로 활동하는 시민, 인권 단체들만 인정하자!
2020-05-19 17:12:05
지켜보노라니 이용수 할머님의 문제 제기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횡령, 전용, 착복, 분식 회계 여부를 검경이 철저히 수사해서 민형사상 책임을 물어야 된다.
2020-05-19 18:38:39
위안부 할머니 이용만 당하고 돈은 윤미향 입으로 다 들어갔군요. 참 더러운 인간이 위안부 할머니 기부금으로 부귀영화 누리고 또 국회의원 되어 부귀영화 누리고 사는 세상이 되었는데도 처벌은 커녕 아직도 큰소리를 치니 어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