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과 연관돼 발생하는 ‘소아 청소년 다기관 염증증후군’ 해당 사례가 국내에서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3명의 의심 증상자가 발생했으나 2명은 가와사키병 쇼크증후군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명은 조사 중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다기관 염증증후군으로 신고된 2건의 사례에 대해 전문가 자문단 검토 결과, 두 차례 모두 다기관 염증증후군에 부합하지 않아 가와사키병 쇼크증후군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기관 염증증후군은 면역과잉 반응으로 인해 장기와 혈관 등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피부 발진, 장기 내 염증 등 증상은 가와사키병과 유사하나 아직까지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19와 함께 나타나 사례를 관찰하는 상황이다.
국내에서 의심 신고된 사례는 총 2건으로 11세 남아와 4세 여아였다. 11세 남아는 3월 9일 필리핀에서 귀국 후 4월 26일 발열 증상이 나타났다. 4월 29일 병원 입원 후 발진, 복통, 설사, 쇼크가 발생해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았다. 현재는 회복기를 거쳐 5월 11일 퇴원한 상황이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 11세 남아 환자는 3월 초까지 필리핀에 체류해 코로나19 노출력을 확인했으나 PCR 및 중화항체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됐다”며 “다기관 염증증후군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2번째 신고사례는 4세 여아로 5월 12일 발열이 발생했다. 5월 14일 입원했고 결막 출혈, 복통, 저 혈압 등이 나타나 입원 치료를 받았다. 이 여아 환자 역시 현재 회복돼 지난 5월 30일 퇴원했다.
이 환자 역시 PCR 및 중화항체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왔다. 또 코로나19 노출을 의심할만한 특별한 위험요인도 없어 다기관 염증증후군에 부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경 본부장은 “현재 국내 신고 사례는 이 2명을 포함해 3명으로 다른 1명도 가능성은 낮으나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향후 다기관 염증증후군과 관련해 국외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발생에 대한 감시 및 조사체계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