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파주 연천 김포 등 접경지역에 800명 배치 감시
주민들 "북한 고사총 사격 재현 우려"
6·25전쟁 70주년인 오는 25일 전후 탈북민단체가 북한에 대북전단 100만장을 보내겠다고 밝혀 경찰과 접경지역 지자체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대북전단 풍선이 띄워진 후에는 사실상 이를 막을 방법이 없어 과거 북한의 고사총 발포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9일 경찰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경찰은 오는 25일 전후로 대북전단 100만장 살포를 예고한 탈북민단체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관련 단체들이 전단 살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파주와 연천, 김포 등 접경지역에 800명 가량의 경력을 배치한 상태다.
이들은 주요 살포 예상지점과 길목에서 대북전단 살포 시도를 사전에 차단하고, 필요 시 직접적인 저지에 나서게 된다.
그러나 개발이 덜 된 접경지역일수록 워낙 풍선을 띄울 수 있는 장소가 많고 야간에는 풍선 식별조차 어려워 100% 저지는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당장 바람 방향만 맞으면 언제든지 대북전단을 살포할 수 있다는 입장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지금도 바람 방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전단 살포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대북전단 풍선이 띄워진 이후에 대한 대책도 필요한 상태지만, 현재로서는 풍선이 날아가는 것을 발견한다 하더라도 떨어트릴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태다.
일단 저고도에서의 대북전단 풍선은 군과 경찰의 지상사격이 가능하기는 하나 탄두가 민간인 거주지역에 떨어질 수 있고 특히 접경지역에서는 군사행동으로 오해를 살 수 있어 검토조차 되지 않고 있다.
헬기를 이용해 비교적 근거리에서 저격수 등을 통해 요격하는 방법 역시 탄착지 문제가 걸리는데다 풍선 자체에 수소가스를 채우기 때문에 폭발 위험이 존재해 불가능한 상황이다.
경찰의 경우 특수상황에 사용하는 비살상용 충격탄도 있으나 최근에는 스펀지 재질의 근거리용 탄을 사용해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경찰 헬기의 경우 기지 위치 때문에 현장 이동에만 최소 30분에서 1시간이 소요돼 즉각적인 대응도 불가능하다.
결국 현재로서는 대북전단 풍선이 북한 쪽으로 날아가도 이를 저지할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태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과거 수차례 있었던 북한의 대북전단 풍선 저격 시도다.
지난 2014년 10월에는 북한이 대북전단 단체가 연천과 파주 일대에서 띄워 보낸 대북전단 풍선을 떨어트리기 위해 고사총 수발을 발사하면서 2발이 연천군 중면사무소 인근과 군부대 쪽에 떨어져 주민들이 대피한 일도 있었다.
북한군이 사용하는 14.5㎜ 고사총은 최대 사거리 5㎞, 유효 사거리는 1.5㎞ 남짓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15일에도 북한 민경초소(GP)에서 고사총 사격훈련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져 2014년과 같은 대응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파주 최북단에 위치한 장단면 이장단협회의 등 주민 50여명은 이날 “대북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가 아닌 평화롭게 살아가는 주민의 삶을 송두리째 흔드는 적대행위”라며 대북전단 살포 즉각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일단 풍선이 뜨고 나면 꽤 높은 고도에서 날아가기 때문에 어떻게 막을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풍선을 띄우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하고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해 현장에서도 경계근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