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70주년 맞아 중고교에 배포… 국방부가 부인한 내용 포함
학계 “논쟁적 사안, 부적절 기술”
서울시교육청이 6·25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일선 중고교에 배포한 역사 계기교육자료가 편향 논란을 빚고 있다. 특히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 군인들이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것을 기정사실로 전제한 부분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교육청은 하종문 한신대 일본학과 교수와 교사 5명에게 집필을 맡긴 ‘동아시아, 평화로 다시 읽다’라는 약 190쪽 분량의 교재를 지난달 25일 서울 전체 중고교 728곳에 배포했다. 수업 시간에 교사의 재량에 따라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교재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베트남전쟁’에 관한 것이다. 교재는 “베트남전쟁에서도 민간인 학살이 있었습니다. 미군에 의한 ‘미라이 학살’,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에 의한 학살, 한국군에 의한 학살도 있었다고 합니다”라며 “(한국군은) 부비트랩이 터지거나 공격을 받으면 인근 마을을 베트콩이 있는 마을로 간주했다. 언어가 통하지 않아 주민 모두를 베트콩으로 보고 무차별 사살을 저지르는 경우가 발생했다”고 단정적 표현으로 기술했다. 또 “한국은 베트남전쟁 중에 벌어진 민간인 학살에 대해 아직까지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를 표명한 적이 없다”는 표현을 담았다.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을 사실로 전제한 셈이다.
하지만 이 부분은 사실로 입증되지 않은 사안이다. 기존 교과서 등에서도 민간인 ‘희생’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 지난해 베트남전쟁 생존자와 유족 103명이 1968년 ‘퐁니 마을 사건’에서 한국군에 의해 부상을 당했다며 청와대에 사과를 요구했지만, 당시 국방부는 “한국군 전투 사료 등에서는 한국군에 의한 민간 학살 내용이 확인되지 않았고, 베트남 당국과의 공동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답변한 바 있다.
교재는 베트남전쟁 참전 군인들의 지원 동기에 대해 “한국 생활에 대한 불만, 외국 생활에 대한 동경, 애국심 등이 있었는데 역시 가장 큰 이유는 금전적인 이유, 즉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실제 차출된 이들 중엔 가난한 집 출신의 저학력자가 많았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역사교육학계에선 부적절한 기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명희 공주대 역사교육학과 교수는 “파병 지원을 금전적 측면만 부각한 것은 참전 당사자들의 동기를 단편적으로 해석한 결과이며, 민간인 ‘학살’은 학계에서 논란이 있어 검인정 교과서에선 지양하는 표현”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국립대 역사교육 전공 교수는 “교재에 쓰인 표현들은 역사학계에서 논쟁적인 사안이어서 학생들이 보는 교과서에 쓰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검인정 역사 교과서에서 ‘일왕(日王)’으로 쓰는 용어를 해당 교재에서는 ‘천황(天皇)’으로 표기해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교재 제작을 담당한 서울시교육청 민주시민생활교육과 측은 “이 자료는 동아시아 전쟁의 역사를 배우고 평화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라며 “교과서에는 쓰이지 않더라도 학계에서 이미 통용되고 있는 사실들을 균형적으로 담으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김수연 sykim@donga.com·임우선 기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