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국 7개 정수장서 유충 발견…여과지 교체 조치”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7월 21일 11시 30분


15일 수돗물에서 유충이 나왔다는 민원이 제기된 인천시 부평구의 한 아파트에서 인천시상수도사업소 관계자가 잔류염소를 측정하고 있다. 측정 결과 해당 아파트 수돗물에서 유충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스1
15일 수돗물에서 유충이 나왔다는 민원이 제기된 인천시 부평구의 한 아파트에서 인천시상수도사업소 관계자가 잔류염소를 측정하고 있다. 측정 결과 해당 아파트 수돗물에서 유충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스1
환경부가 인천 공촌 등 전국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을 발견해 활성탄지(여과지) 교체 등 조치를 했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수돗물 안전관리에 총력 대응’ 브리핑을 열고 “최근 인천지역 수돗물 유충 민원의 원인으로 지목된 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소에 대해 15일부터 17일까지 긴급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활성탄지는 정수 설비로 인천 수돗물에서 발견된 깔따구 유충 등이 번식한 곳으로 파악된 지점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8일 유전자 결과분석을 통해 활성탄지에 부화한 유충이 걸러지지 못해 정수장·배수지 등을 거쳐 가정으로 공급된 것으로 확인했다.

활성탄지가 설치된 49개 정수장 중 유충이 발견된 곳은 △인천 공촌 △부평 △경기 화성 △김해 삼계 △양산 범어 △울산 회야 △의령 화정 등 7곳이다. 이외에도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되었다.

인천 이외의 지역은 활성탄지 표층에서 유충이 발견됐지만, 정수장 후단 배수지·수용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유충 발견 이후 즉시 활성탄 교체 또는 세척·오존 주입율 상향 등의 조치를 취했다.

또 활성탄지 외에 관로 말단 및 배수지에도 거름망을 설치하여 확인 중이다. 다만 현재까지 유충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문제가 지적된 정수장에 대해 이달 23일까지 보완조치를 완료하고 그 사항을 보고하도록 했다.

환경부는 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 추가 발생은 차단됐고, 급·배수 관로상에 남아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아울러 전국 일반 정수처리장 435개소에 대해서도 17일부터 긴급 전수조사를 진행 중이다.

서울과 부산지역 등 수돗물에서도 유충이 발견되었다는 신고에 대해선 지자체와 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등이 공동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경우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진 않았다. 배수구 등 외적 요인을 통한 발생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 중이다.

부산의 경우 모기·파리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조사 결과 하수구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화성·파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정수장·배수지·저수조 등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배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윤우열 동아닷컴 기자 cloudanc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