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광주광역시와 인천광역시에서 실시한 고위험군 대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제적 진단검사 결과 “다행히 양성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면서도 다른 지자체들에게도 선제적 진단검사를 요청했다.
박 1차장은 30일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는 나이에 따라 치사율이 크게 다르다. 국내 기준으로 30대 사망률은 0.7%이지만 70대는 9.5%, 80대는 25%로 뛴다. 연령이 높을수록 더 조심하고 보호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1차장은 “광주광역시에서는 확진자의 접촉자와 같은 의무 조사대상이 아님에도 요양시설, 요양병원 입소자·종사자 등 3만여명을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실시했다”며 “인천시에서도 노인복지시설과 산후조리원 등 고위험시설에 대한 진단검사와 함께 노숙인, 쪽방촌에 대한 이동방역검진을 실시했다”고 전했다.
그는 “다행히 검사 대상자 중에 양성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며 “선제적인 진단검사는 무증상 감염자를 발견해 보호하고, 추가확산을 방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 지역 내 숨겨진 감염자를 찾아내어 시민들의 우려를 덜어줄 수 있다”며 “다른 지자체에서도 고위험 시설을 대상으로 한 선제적 진단검사를 적극 고려해달라”고 덧붙였다.
박 1차장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3차 추가경정 예산으로 투입되는 생활방역 일자리 9만여개의 활용 계획과 오는 31일 귀국하는 이라크 건설근로자 추가 귀국 대비 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박 1차장은 “곳곳에서 발열을 체크하고 기물을 소독하며 거리두기·마스크 착용을 확인하는 것이 지역사회를 보호하는 기본으로 자리잡았다”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이러한 기본이 끊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3차 추경에 반영된 생활방역일자리가 잘 활용돼 어디에서나 생활 속 방역이 촘촘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라크에 남아있는 우리 건설근로자 72명이 추가로 귀국할 예정이다. 지난주 귀국과 같이 확진자가 상당히 많을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는 귀국 이후 진단과 치료 등에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국민 여러분의 지지와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