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6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리는 ‘포스트코로나(코로나 이후) 교육 대전환을 위한 8차 대화’에 참석한다.
8차 대화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감염병·방역 전문가, 교육청·학교 관계자, 학부모 등과 학교 대응실태를 진단하고 향후 학교 방역체계 개선방향과 과제를 논의한다.
주제발표를 맡은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전 공개한 발제문을 통해 “학생의 코로나19 감염은 주로 가족 또는 학원에서 발생한다”며 “학원의 적절한 통계 없이 전면 등교수업은 불가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300명 이상의 대형학원만 고위험시설로 지정돼 있다”며 “전면 (등교)수업을 고려할 경우 학원 전체를 고위험시설로 지정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발표에 따르면 5월1일부터 지난달 25일까지 발생한 3~18세 확진자는 총 111명이다. 가족 간 전파가 67명(60.4%)으로 가장 많았고 학원 14명(12.6%) PC방·노래방 5명(4.5%) 학습지·과외 4명(3.6%) 종교시설 3명(2.7%) 보육교사 2명(1.8%) 등 순이다. 학교 내 전파로 추정되는 사례는 대전 천동초등학교 1건이 유일하다.
이 교수는 “학교에서의 감염은 1학기 동안 잘 통제됐다”며 “지역사회 감염자를 줄이는 것이 2학기 개학의 키(Key)”라고 강조했다. 이어 “방대본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상설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유 부총리는 “토론회에서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 촘촘한 방역 체계를 구축해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하고 추후 감염병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학교 현장의 방역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