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확대·공공의대 설립' 코로나 종식 후 협의해야…성명
의대생 불이익 받는다면 스승으로서 단호히 나설 것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에 반대하는 의료계 집단 휴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도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울산대학교 의대 교수들은 28일 ‘의과대학생의 의사국가고시 거부와 동맹 휴학에 대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의 성명’을 내고 “정부는 의대생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정책 진행을 즉각 중단하고 코로나19 상황이 완전히 종식된 후 원점에서부터 의료계와 협의를 진행할 것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방의 의료 접근성 부족이나 양질의 의료 공급 부족, 공공의료를 담당할 의사의 부족이 단순히 의대생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으로 해결될 수 없다”며 “또한 공공의대의 선발 과정에서의 공정성 문제 등은 정부안이 의사 양성을 담당할 의료계와 상의없이 추진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수들은 “현재 대치 상황은 매우 소모적이고 코로나로 인해 의료 인력의 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코로나와 관계없는 환자들까지 치료를 적절하게 받지 못할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지금은 우선적으로 당면한 문제에 집중하고 정책에 대해서는 시간을 들여 논의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의대생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이 의료에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최소 10년에서 30년이 걸린다”며 “이 제도가 국민건강과 의료계에 걸림돌로 밝혀지더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수정하는데 다시 또 10년에서 30년이 걸리기 때문에 이는 충분한 논의와 실현가능한 방법을 통해서만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의대 교수들은 “현재와 같은 코로나 사태에서 의사와 정부 간 소통 결렬로 수많은 환자들의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은 정부도 의사도 바라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러한 엄중한 시기에 충분한 대화와 검토를 거치지 않은 정책을 강행하는 것은 국민건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의대생들의 스승이자 선배인 의대 교수들은 의대생들이 의사국가고시를 거부하고 휴학서류를 제출하는 모습을 보면서 학생들의 절실함과 절망감을 함께 느끼며 참담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상상하기도 싫지만 의대생들의 합리적인 주장이 불이익으로 돌아온다면 스승으로서 교수들이 단호하게 나설 것임을 밝혀둔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