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교수 70% “전공의 추가 행정조치시 업무중단·사직 불사”

  • 뉴스1
  • 입력 2020년 9월 1일 18시 48분


서울대병원이 오는 31일부터 소화기·순환기·신장·혈액종양·호흡기내과 등 9개 내과 분과의 외래진료를 축소한다. 전공의와 전임의(임상강사)들의 파업으로 교수들의 진료부담이 과중해진데 따른 조치다. 사진은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2020.8.30/뉴스1 © News1
서울대병원이 오는 31일부터 소화기·순환기·신장·혈액종양·호흡기내과 등 9개 내과 분과의 외래진료를 축소한다. 전공의와 전임의(임상강사)들의 파업으로 교수들의 진료부담이 과중해진데 따른 조치다. 사진은 3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2020.8.30/뉴스1 © News1
의대 정원 확대 등 문재인 정부의 의료정책에 업무 중단 및 축소 등의 집단행동으로 반발하고 있는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파업 등 단체 행동을 예고하고 있다.

1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는 지난달 29~30일 서울대병원 본원ㆍ분당서울대병원ㆍ보라매병원에서 근무하는 전체 교수 532명을 대상으로 전공의 파업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전체 의대교수 과반인 294명(55.3%)이 응답한 설문에서,‘정부의 전공의·전임의 형사 고발에 이은 추가 행정조치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학교에 겸직 정지를 요청(병원 업무 중단)한다’는 응답이 138명(46.9%)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서울대에 직접 고용되고 병원엔 간접 고용된 형태로 일하는데, 겸직 정지를 요청한다는 것은 교수직만 유지하면서 병원 업무를 거부한다는 취지다.

‘교수직 사직서를 제출한다’가 74명(25.2%)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병원직이나 교수직 등 직을 거는 강경의사에 3명 중 2명 이상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공감했다는 것이다.

‘전공의·전임의들에게 복귀를 권고한다’는 의견은 31명(10.5%)에 그쳤다.

또 ’응시자 수와 관계없이 의사 국가시험(국시)이 진행될 경우 국시 위원으로 참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참여 서울대 의대 교수 중 267명(90.8%)이 ’거부한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대 교수가 국시 위원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국 각 의과대학 교수 등이 정부정책에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 이어질 경우, 의과대학 교수들이 참여를 거부할 경우 내년도 의료인력 배출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