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버스요금 전면 카드화 검토…“현금사용 1% 수용안 고민“

  • 뉴스1
  • 입력 2020년 9월 10일 15시 54분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버스가 오가고 있다. 2020.8.31/뉴스1 © News1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버스가 오가고 있다. 2020.8.31/뉴스1 © News1
서울 시내버스 요금을 지하철처럼 모두 카드 또는 교통카드로 내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현금을 내고 버스를 타는 승객이 전체의 1%가 되지 않은 데 비해 현금 처리 비용은 수십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현금 집계 과정에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도 영향을 줬다.

10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서울시에 따르면 조합은 지난달 8월 11일 서울시에 버스 현금 승차제 폐지를 공식 건의했다. 서울시는 아직까지 조합의 건의를 받아들이진 않았으나 추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검토 중이다.

조합에 따르면 시내버스 승객 중 현금을 사용하는 비율은 지난 2005년 10%, 2010년 5%에서 지난해 1.1%, 올해 상반기(1~6월) 0.9%로 낮아졌다. 현금 수입금도 2011년 732억원에서 지난해 181억원으로 떨어졌고, 올해는 지난해보다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합 관계자는 “승객 99% 이상이 카드를 쓰고 현금 비율은 1%가 되지 않아 올해 현금 수익금은 180억원가량으로 추정되는데 현금을 집계해 관리하는데 매년 약 20억원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매일 버스 회사당 3~4명의 직원이 직접 손으로 현금을 집계한다”며 “현금은 수많은 사람들의 손에서 오는 것인데 최근엔 집계 과정에서 코로나19 문제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조합 측이 버스 현금 승차제를 원하는 데는 재정적인 측면이 크다. 서울 시내버스는 운영 결과 적자가 생기면 전액 재정에서 지원해주는 준공영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버스 회사의 적자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버스 서비스를 유지하는 비용이 필요한데 평소에는 2500억원에서 3000억원 정도의 적자가 발생하는데 올해는 코로나19로 승객이 크게 줄어 적자폭이 6000억원 이상이 될 수 있다”며 “버스 요금은 2015년 6월 이후 5년 동안 인상되지 않는 상태”라고 말했다.

조합 측의 버스 현금 승차제 건의는 지난 2007년에도 있었으나 당시는 현금 이용자가 5%를 넘어 무산됐다. 서울시는 여건이 바뀐 만큼 현금 승차제 도입이 필요하다는데 일부 동의하지만 현금을 내는 1%의 승객을 챙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철처럼 버스 정류소마다 교통카드 발급기를 설치하는 방안도 논의된 바 있으나 정류소 숫자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대신 각 정류장 근처에는 교통카드를 판매하는 편의점이 대부분 있고, 그 부분에 대해 좀 더 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합 관계자도 “1%의 승객 중에는 현금을 꼭 내고 싶어서 내는 게 아닌 분들이 상당수 있을 것”이라며 “이분들이 불편을 겪지 않으면서 수용할 방안을 시와 적극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