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5단게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시사하면서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완화가 어쩔 수 없는 방안이라면 방역정책과 더불어 정부의 일관적인 입장 유지를 강조했다.
지난 9일 정례브리핑에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번 주 말까지 5일만 더 집중해서 모두 함께 거리두기에 힘쓴다면 확연히 안정된 상태로 코로나19를 통제할 수 있어 더 이상 추가적인 안정은 필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2.5단계 이후 신규확진자 수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지난달 27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일일 확진자 수가 441명까지 증가한 이후 28일부터 신규 확진자 수는 371명, 323명, 299명, 248명, 235명, 267명, 195명, 198명, 168명, 167명, 119명, 136명, 156명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물론 정부의 거리두기 완화 움직임에는 생계위기에 내몰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절박함도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실제로 2.5단계 거리두기 이후 생계 유지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도 2.5단계처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다. 코로나19 방역만 생각하면 3단계로의 상향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만 생각하면 3단계를 2주 이상 충분히 끌고 가는 것이 좋겠지만, 2.5단계 시행으로 확진자가 어느 정도는 줄었다”며 “(정부가) 환자가 급증하지 않는 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를 지속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전병율 차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이번 2.5단계로 국민들도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가 얼마나 힘든지 잘 알게 됐을 것”이라며 “방역은 방역대로 하면서 국민들이 조금은 숨 돌릴 수 있게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밝혔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 확진자 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젊은 사람이나 활동량이 많은 사람들은 코로나19에 감염돼도 증상이 거의 없지만 고령자나 기저질환자 같은 고위험군은 그렇지 않다”며 “이들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천 교수는 “젊은층이 일상생활에서 방역수칙을 잘 지켜야 집에 있는 고령자 가족이 감염되지 않는다”면서 “거리두기가 완화돼도 식당·카페 등에서 대화를 삼가고 가급적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도 “젊은 사람들 가운데 환자가 발생하지 않아야 고령층으로도 코로나19가 유입되지 않는다”며 “고령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감염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거리두기 완화 이후에도 집단이 모이는 것을 최소화해야 감염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가 국민들에게 방역의 중요성에 대한 메시지를 일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전병율 교수는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려면 국민 개개인이 위생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며 “국민들도 이 방법은 잘 알고 있는 만큼, 이를 잘 지킬 수 있도록 정부가 홍보를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천은미 교수도 “현재 시점에서 거리두기 단계를 내린다고만 말하면 국민들이 이전처럼 원상복귀해서 카페나 식당에 오래 앉아 식사를 하며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며 “정부가 방역지침을 일관성 있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천 교수는 또한 “코로나19 완치 이후에도 심장·폐 등에 후유증이 있으면 초기관리가 필요한데, 정부의 지침이 없으면 환자도 퇴원하고 나면 끝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며 “정부가 관리지침을 내려 퇴원한 사람들도 예약·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