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이 같아 순배출량이 ‘제로(0)’가 되는 걸 말한다.
최근 지자체 중에는 구체적인 탄소중립 목표 연도와 달성 방안을 공개하는 곳이 늘고 있다. 올 6월 전국 지자체가 기후위기 비상선언에 나서고 7월 80개 지자체가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를 발족한 데 따른 조치다.
제주도는 탄소중립 목표 연도를 2030년으로 정했다. 그때까지 도내 전력 수요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활용하고 등록 차량 50만 대 중 75%(37만7000대)까지 전기차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 같은 구상은 일찌감치 제주도가 풍력과 태양열발전을 확대한 덕분이다. 제주지역 전력 사용량 중 신재생에너지 점유율은 2019년 기준 14.4%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늘려 남는 전력을 저장할 대규모 전력저장소(ESS)를 구축해 신산업 혁신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신재생에너지만 활용하는 아파트 단지와 소규모 마을을 조성해 점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립섬’을 만들 구상을 하고 있다.
광주시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형 AI-그린뉴딜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광주에 있는 산업단지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게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고 향후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많아질 기업들의 유치에서 우선순위를 점하겠다는 구상이다.
우선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옥상 등 유휴부지에 태양광을 설치하고 신규 산업단지는 신재생에너지로만 운영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대형 수소생산기지를 만들고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생산사업을 확대한다. 또 인근 하천과 상수도를 활용해 건물 냉난방에 사용할 수 있는 수열에너지도 생산한다.
서울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이 목표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2030년에는 42%, 2040년 72%로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우선 도심 내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물(68.2%)과 수송(19.4%) 분야의 배출을 줄일 방침이다. 도시숲을 확대해 도시 생태계 복원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건물 분야에서는 어린이집과 보건소 등 공공건물부터 단열 강화 등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대대적으로 시작하고 향후 민간 건축물에도 확대한다. 또 2035년부터 친환경차량만 등록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나무도 2022년까지 3000만 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중앙정부 차원이 아닌 지자체 차원에서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세우는 건 지역 상황에 맞는 대응책을 세울 수 있어 효율적이다. 해외에서도 로스앤젤레스(미국), 코펜하겐(덴마크), 도쿄도(일본) 등이 적극적으로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20일 “탄소중립 의지를 밝히고 적극 추진하는 것에 대해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환경부도 지자체의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추진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내용의 감사 서한을 서울시와 광주시, 제주도에 보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