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거론된 ‘체육관 병동’ 당국은 선 그어…中모델 거부감 때문?

  • 뉴스1
  • 입력 2020년 12월 10일 13시 55분


수도권 지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9일 오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 컨테이너형 치료공간 설치작업이 진행 중이다./뉴스1 © News1
수도권 지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9일 오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 컨테이너형 치료공간 설치작업이 진행 중이다./뉴스1 © News1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지난 3월에 이어 또다시 ‘체육관 병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확진자 급증에 서울시가 부랴부랴 컨테이너를 마련해 병상 부족 현상을 해결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최일선 의료 지원이 먼저라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82명으로 역대 네 번째를 기록했다.

이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권역에서만 503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전날(536명)에 비하면 조금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신규 확진자의 73%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이에 우려했던 병상 부족이 현실화하고 있다. 이날 기준 서울의 입원가능 중증병상은 이제 3개밖에 남지 않았다.

서울시는 확진자 급증으로 컨테이너형 임시 병동을 설치하기로 했지만, 형태, 규모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아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전문가를 중심으로 중국의 체육관 치료를 본 따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의료진 인력이 한정돼 있어 체육관 등을 이용해 소수의 인력이 넓은 공간을 모니터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의료진 동선이 훨씬 짧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의 말대로 의료진 인력과 동선 측면에서 체육관이 컨테이너보다는 의료 환경이 좋다.

이 때문에 지난 2~3월 대구에서의 폭증 때도 체육관 도입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당시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중증 환자는 국가음압병상에 격리하고 경증 환자는 체육관이나 수련원 등에 격리해 치료해야 한다”며 중국의 예를 들었다.

중국의 경우 10개 체육관과 전시장을 경증환자들을 수용하는 임시병원으로 전환해 확진자 수를 줄인 바 있다.

하지만 당시에도 정부는 재감염, 병세 악화 등을 이유로 ‘1인 1실’을 원칙으로 했다.

이번에도 정부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겠다는 방침이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날(9일) “일각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대안으로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에 병상을 짓고 활용하자는 의견이 있어 논의하고 있지만, 하루에 확진자가 몇천명씩 나올 때만 가능할 것 같다”고 밝혔다.

여기에 ‘중국 모델’, ‘인권’ 측면 등에서 거부감도 존재한다.

김우주 교수는 “현재 서울 상황이 코로나19 본게임으로 볼 수 있는 만큼, 어떻게 그런 시설에 환자를 모아놓을 수 있느냐는 생각보다 최악을 대비하는 게 먼저”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체육관이냐 컨테이너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늘어나는 진단검사, 중증환자를 돌보는 최일선 의료현장에 대한 지원이 먼저라는 지적이 나온다.

천은미 교수는 “각 병원의 의료 인력은 딱 정해져 있다”며 ‘정부에서 검사를 늘릴 때는 분명한 지원을 해줘야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태호 반장 역시 ”현장 의료인력의 부담이 상당히 가중되리라 생각한다“며 ”우리가 가진 의료 자원을 총력적으로 대응해 중환자 치료에 소홀함이 없도록 의료계와 협력해 최선의 진료가 제공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