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무료로 익명 검사”…서울 코로나 폭증세 잡힐까

  • 뉴스1
  • 입력 2020년 12월 10일 16시 10분


수도권 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되고 있는 9일 서울 마포구 홍대거리가 한산하다. 2020.12.9/뉴스1 © News1
수도권 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되고 있는 9일 서울 마포구 홍대거리가 한산하다. 2020.12.9/뉴스1 © News1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에 ‘무료 익명 검사’를 시행하기로 하면서 200명을 웃도는 서울 폭증세 진정 효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상일 때 누구나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코로나19 대응지침을 개정했다.

한발 더 나아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코로나19 수도권 방역상황 긴급 점검회의에서 “개인 휴대전화 번호만 제공하면 증상, 역학적 연관성을 불문하고 누구나 익명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5월 이태원 클럽발 대규모 집단감염 사태에도 익명 검사를 도입했었다. 성소수자들이 주로 연관됐다는 기류에 관련자들이 코로나19 검사를 회피한다는 우려에서다.

당시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도 “익명검사 도입 후 서울의 검사 건수는 평소 대비 8배로 뛰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서울시는 8월에도 광복절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의 검사를 유도하기 위해 익명 검사를 시행했다. 정치적인 견해 등으로 인한 오해를 피하기 위해 검사를 피하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서다.

이번 3차 대유행에는 정부가 앞장서 ‘무료 익명 검사’ 카드를 꺼내들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 중이고, 지역 사회에서 방역망을 벗어난 잠복 감염자가 많다는 판단에서다.

또 앞선 두 차례 유행과 달리 노인 쏠림 현상이 사라지고, 젊은층도 대다수 감염되면서 취업 불이익 등 ‘낙인효과’를 우려한 검사 기피를 예방한다는 의도다.

수도권 선별진료소 운영시간도 늘려 평일 오후 9시까지, 토요일과 공휴일에도 오후 6시까지 검사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 무료 익명 검사로 지역 사회에 퍼져 있는 ‘숨은 확진자’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 확진자 중 감염 경로 조사 중인 사례는 24.8%이고, 무증상자도 35.1%에 달한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역 사회 내 감염이 많이 확산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빨리, 폭 넓게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요양원이나 정신병원 등 고위험시설을 대상으로 의료진, 종사자 등 선제검사를 실시해 확진자 12명을 찾았다. 지난 6~10월 일반시민 1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선제 검사를 한 결과 감염자 4명을 확인하기도 했다.

박 국장은 “지금 바로 확산세를 진화하는데 효과를 보인다기 보다 일단 지역사회에 확산돼있는 확진자를 찾아내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뉴스1)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