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일지 쓰고 재활용품 회수… ‘지구 살리기’에 시민들이 나섰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제는 Green Action!] <8> 다회용기 활용하자

서울 마포구에 있는 ‘제로 웨이스트 가게’ 알맹 상점 한쪽에 있는 재활용품 회수센터. 일반 재활용품 분리배출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 병뚜껑 등 자투리 플라스틱을 색깔별로 모아 재활용한다. 알맹 제공
서울 마포구에 있는 ‘제로 웨이스트 가게’ 알맹 상점 한쪽에 있는 재활용품 회수센터. 일반 재활용품 분리배출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 병뚜껑 등 자투리 플라스틱을 색깔별로 모아 재활용한다. 알맹 제공
지난해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은 이른바 ‘비대면 소비’를 촉진시켰다. 1년 동안 국내서 사용된 택배상자는 33억7367개로 집계됐다. 2019년 대비 21% 늘었다. 1∼11월 온라인 배달음식 결제금액은 15조1481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8조6810억 원)의 2배로 증가했다.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재활용 폐기물도 크게 늘었다. 택배상자에는 플라스틱 테이프와 각종 완충재가, 배달 음식에는 한 번에 6∼8개의 배달 용기 및 뚜껑이 포함돼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1∼8월 가정에서 배출된 플라스틱과 비닐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5%, 11% 증가했다.

코로나19 상황은 여전하지만 재활용 폐기물 급증에 문제의식을 갖고 행동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증가한 재활용 폐기물을 보며 자신이 배출한 일회용품이 얼마나 되는지 꼼꼼히 따지기 시작했다.

○일상 속 재활용 실태 확인

일회용품 사용 실태는 주로 환경단체들이 점검한다. 환경단체들이 관련 이벤트를 기획해 시민 신청을 받고, 참가자들의 사용 결과를 모으는 식이다. 시민들은 이벤트 기간 동안 일회용품 사용량을 체감할 수 있다. 환경단체는 이 기간 재활용품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환경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한 주간 260개 가정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양을 조사했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매일 발생량을 기록했다. 조사 결과 총 1만6629개, 한 가정으로 따지면 1주일 동안 약 64개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나왔다. 폐기물 중 71.5%는 과자 등 식품 포장재였다. 조사에 참여한 시민들은 “과자나 디저트 종류가 여러 겹 낱개 포장된 경우가 많아 과대포장 상태가 심했다”는 의견을 냈다. 직접 헤아려보지 않았다면 미처 알기 어려웠던 부분이다.

서울환경연합도 지난해 8월 한 달간 시민 265명의 지원을 받아 ‘메이데이 챌린지’를 실시했다. 재포장, 묶음포장, 과대포장 사례를 찾아 제보하고 플라스틱과 종이컵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내용이었다. 이 챌린지에 참여한 시민들은 “내가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을 쓰는지 알게 됐다”거나 “환경보호를 실천할 동기 부여가 됐다”는 등의 후기를 전달하기도 했다.

○재활용 생각하는 ‘똑똑한’ 배출

시민들의 관심은 재활용 폐기물 배출 실태에 이어 ‘제대로 재활용되는가’로 이어졌다. 특히 작은 플라스틱, 우유팩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작은 플라스틱은 분리 선별 과정에서 제대로 선별되지 않고 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우유팩은 재활용하면 고급 화장지로 재활용할 수 있지만 다른 종이와 섞여 배출되면 재활용이 쉽지 않다.

서울환경연합은 지난해 5월 자투리 플라스틱을 모아 새로운 ‘업사이클링’(재활용품에 디자인과 기능을 더하는 것) 제품을 만드는 플라스틱 방앗간을 차렸다. 시민들이 플라스틱 가운데 폴리프로필렌(PP)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모아 보내면 세척·분쇄해 치약짜개를 만들어 돌려보냈다. 이른바 ‘플라스틱 굿즈’를 받는 셈이다. 시민들이 쓰레기로 버려지는 자투리 플라스틱을 직접 보내 재활용하는 이 캠페인은 큰 인기를 끌었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제로 웨이스트 가게’(쓰레기 없는 가게)인 알맹 상점은 가게 한쪽에 재활용품 회수센터를 차렸다. 시민들이 우유팩, 작은 플라스틱, 커피가루 등을 가져오면 받아 모아뒀다가 한 달에 한 번씩 재활용하는 곳으로 보낸다. 우유팩은 주민센터로 가져가 휴지로 바꾼다. 작은 플라스틱은 서울환경연합의 ‘플라스틱 방앗간’으로 보내 치약짜개로 재가공하고, 커피가루는 이를 활용한 화분을 만드는 업체로 보낸다.

이곳은 지난해 6월 가게 문을 열고 7월 회수센터 운영을 시작했다. 6개월 동안 재활용된 폐기물은 총 721kg에 달한다. 매달 모이는 양도 느는 추세다. 지난해 7월 수거량은 49kg이었는데 12월 208kg으로 4배가량 늘었다.

시민들의 관심도 늘고 있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한 달 동안 플라스틱 병뚜껑을 모아 보내오기도 했고, 충남 계룡의 한 시민은 아파트 분리수거날 병뚜껑만 모아 가져오기도 했다. 고금숙 알맹 공동대표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시민 의식도 높아지고 있는데 현재 재활용 수거 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아파트에서 투명 페트병을 따로 모으듯 고급 재활용 재료인 우유팩도 별도 배출함만 있으면 손쉽게 재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플라스틱 일지#재활용품 회수#지구 살리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