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 상위 20% 국민과 하위 20% 국민의 건강수명이 8년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최대 13년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건강수명은 질병이나 부상 없이 사는 기간을 뜻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평균 건강수명을 73.3세로 높이기 위해 담뱃값 인상 등의 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2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소득수준이 하위 20%인 국민의 건강수명은 65.2세다. 상위 20% 국민의 건강수명(73.3세)에 비해 8.1세 낮았다. 2008년 관련 분석을 시작한 이후 가장 큰 차이다.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도 컸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경기 용인시 수지구의 건강수명이 75.3세로 가장 높았다. 반면 가장 낮은 부산 영도구는 62.2세에 그쳐 두 지역 간 편차가 13.1세에 달했다.
정부는 2018년 70.4세인 우리 국민의 평균 건강수명을 2030년까지 73.3세로 높이기로 했다. 또 소득수준에 따른 건강수명 격차도 7.6세로 완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취약계층에 대한 금연 지원 서비스와 알코올의존증 관리를 강화하고 비만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2018년 기준 36.7%에 이르는 성인 남성의 흡연율을 2030년까지 25%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내놓았다. 정부는 현재 1갑당 4500원 수준인 담뱃값을 향후 10년 안에 7달러(약 7738원) 수준으로 높일 방침이다. 이스란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아직 인상 폭과 시기를 구체적으로 정한 건 아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 담뱃값을 올리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