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음식업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대 급감…구직급여 신청 21만명

  • 뉴시스
  • 입력 2021년 2월 8일 12시 38분


코멘트

'고강도 거리두기 여파' 1월 가입 15만1천명 그쳐
숙박·음식업 5.4만명 줄어…통계 이래 최대 감소폭
공공행정도 일자리 사업 종료로 증가폭 크게 줄어
구직급여 9602억원…신규 신청 20만명 역대 최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고강도 거리두기 여파로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 증가폭이 2004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거리두기 여파가 심화하면서 숙박·음식점업 고용보험 가입자 감소폭과 구직급여 신규 신청 규모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가 8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1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383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만1000명(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은 2004년 2월 13만8000명 이래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3차 유행 억제를 위한 고강도 거리두기에 따라 증가폭이 크게 둔화했다.

가입자 수 증가폭은 코로나19가 발발한 지난 2월 37만6000명에서 3월 25만3000명으로 크게 꺾인 뒤 5월 15만5000명으로 저점을 찍었다. 이후 6월부터 18만4000명→18만6000명→26만2000명→33만7000명→36만5000명→39만4000명으로 회복세를 보이다가 12월 23만9000명에 이어 1월 15만1000명으로 감소폭을 키우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은 지난해 7월 이후 6개월 연속 감소폭을 줄이고 있으나 대면서비스업이 포함된 서비스에서 감소 추세가 심화하고 있다.특히 거리두기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은 숙박·음식업과 정부 일자리 사업이 연말부터 순차적으로 종료됨에 따른 공공행정에서 감소가 두드러졌다.

숙박·음식업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3만4000명이 감소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5만4000명 줄었다. 통계가 시작된 1997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지난해 11월 가입자 수가 20만 명 이상 치솟았던 공공행정은 지난해 12월 6만1800명에 이어 1월 2만8700명으로 증가폭을 둔화했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예산)으로 편성했던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일자리 사업이 순차적 종료됨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인력공급 여행업 등이 포함된 사업서비스업 가입자 역시 지난해 12월 1만4000명에 이어 지난달 2만 명 감소했고, 예술·스포츠업도 지난해 12월 3000명에 이어 지난달에도 9000명 줄었다.

보건복지업 가입자도 지난해 11월 10만3000명, 12월 9만7000명에 이어 1월 8만1000명으로 줄었다.

김영중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복지서비스가 축소되면서 민간부문에 타격이 있었고 정부가 지원하는 재정지원 직접일자리 사업의 경우도 보건복지 쪽에 잡히는 숫자가 있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고 했다.

반면 서비스업 중에서도 온라인·비대면 산업 확장에 힘입어 무점포 소매, 택배 등이 포함된 소매업 가입자는 업황 호조로 지난달 2만3900명 늘었다. 재택근무 확산 등에 따라 출판업 가입자도 3만2600명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1월 전체 서비스업 가입자 수는 943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만2000명(1.5%) 증가했다.

1월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353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3000명(0.4%) 감소했다. 제조업 가입자는 2019년 9월 이후 16개월 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해 7월(6만5000명) 이후 감소폭은 줄어드는 추세다.

주력 산업인 전자·통신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생산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12월(400명) 증가세로 전환 후 1월 6300명으로 증가폭을 확대했다.

전기장비업과 기계장비업 가입자도 2차전지 대형사업장의 분사 등 산업 변동의 영향으로 각각 8300명, 900명 늘었다. 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의료기기 수출·생산 증가에 따라 의약품 제조업과 의료·정밀기기 제조업은 각각 3500명, 1600명이 늘며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운송장비업은 중소형 조선사 불황 및 대형 조선사의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1만1600명이 줄며 감소폭을 확대했다. 자동차업 가입자도 자동차 엔진 제조업 부진 등으로 1월 5000명 감소했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21만2000명으로 집계됐는데 1월 기준으로 199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연말 계약 종료에 따른 영향과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영향이라고 고용부는 분석했다.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를 산업별로 보면 공공행정 부문에서 2만8500명으로 전년 동월(2만300명) 대비 8200명(40.3%) 증가했다.

김 실장은 공공 일자리 사업 종료에 따른 영향과 관련해 “재정 지원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 대부분이 실업급여 수혜자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노인일자리가 78만5000명 정도로 80%를 차지하고 있는데 주로 65세 이상 연령층이 참여하고 있고 이들은 구직급여 지급 대상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신규 신청자 20만 명 이상 증가하는 상황에서 8000명 정도이기 때문에 비중은 그리 높지 않다고 파악하고 있다”며 “고용보험기금의 재정 건전성 악화는 수급자가 늘어나면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지만 직접 일자리로 인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할 것”이라고 했다.

1월 구직급여 지급액은 9602억원으로 전년 동월(7336억원) 대비 30.8% 증가했다. 구직급여가 지급되기까지 2주가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신규 신청 급증에 따른 영향은 2월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구직급여 수급자는 66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49만9000명) 대비 34.0% 증가했다.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증감을 연령대별로 보면 전 연령대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9세 이하 가입자는 지난달 2만5000명 줄어들며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 역시 정부 공공 일자리 사업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30대에서도 지난해 12월(5만6000명)에 이어 지난달 5만7000명이 줄며 감소폭을 키웠고, 40대와 50대는 각각 7000명, 8만5000명이 늘었지만 증가폭은 줄었다. 60세 이상 역시 14만명이 증가했지만 20만 명대를 증가폭을 유지해왔던 것과 비교하면 둔화된 모습이다.

노동시장 동향은 특수고용직 종사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초단시간 근로자 등을 제외한 상용직과 임시직 근로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김 실장은 “최근 고용 상황은 코로나19 확산과 밀접하게 연동해 움직이고 있다”며 “작년 12월부터 진행되고 있는 3차 확산의 여파가 1월 고용행정통계에 그대로 반영돼 고용 상황은 매우 어려운 국면에 놓여 있다”고 했다.

이어 “다만 최근 확진자 증가 추세가 주춤하고 있고 산업 활동 동향도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어 2월 이후 고용상황은 좀 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