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폭(학교폭력) 미투’는 주로 10∼20년 전 겪었던 피해들이 많다. 오래된 피해라도 심리적 상처가 쉽게 극복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학폭 발생 당시 ‘초기 대응’이 적절히 이뤄져야 극복도 수월하다”고 했다.
초기 대응은 성범죄 피해 회복과 마찬가지로 ‘피해자 중심주의’가 우선이다. 아동청소년인권센터를 운영하는 ‘탁틴내일’의 이현숙 상임대표는 “가해 학생의 징계로 사건이 끝나는 게 아니다. 피해 학생의 심리 회복 상황을 섬세하게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초기에 심리 회복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피해 학생은 2차, 3차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학교폭력피해자 전용기관 ‘해맑음센터’의 차용복 교사는 “피해자가 주변 관심을 충분히 받는 경우 학교로 돌아가 잘 적응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전문 심리상담과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등도 고려돼야 한다. 한림대성심병원의 전덕인 정신의학과 교수는 “1차적으로 주변 지인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지만, 필요할 경우 심리상담이나 약물치료 등 의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행 제도의 접근성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명지병원의 홍민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교사들은 판단과 수사를 하는 전문가가 아닌 만큼 교육청 등이 나서야 한다는 요청이 많다”며 “의사들이 참여하는 스쿨닥터 같은 기존 제도를 활성화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교폭력예방법은 학생 선도에 목적이 있는데 현실에선 문제가 발생하면 학교 측이 시달리니 사건 종결에만 초점이 맞춰진다”며 “적절한 치유 프로그램과 이를 뒷받침할 인력과 예산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