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대 혈전 생성 환자, EMA 추가 분석 대상 증상 의심”

  • 뉴시스
  • 입력 2021년 3월 20일 16시 04분


소견상 CVST 의심…접종 관련성 평가 예정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혈전 생성이 발견된 20대 환자는 유럽의약품안전청(EMA)가 밝힌 추가 분석 대상 증상이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영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이상반응 조사 지원 팀장은 20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예방접종 브리핑에서 “현재 뇌 영상학 촬영 결과 최종 진단명은 소견상으로 CVST를 의심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CVST는 대뇌정맥동혈전증으로, 혈액 응고(혈전)가 뇌의 정맥동에 생기면서 뇌에서 혈액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혈액 세포가 파괴되는 증상을 뜻한다.

앞서 EMA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과 CVST 발생 간 연관성에 대해 추가 분석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MA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혈전 위험 증가 사이에는 관련이 없으며, 그러면서 코로나19 유행 확산 위험성을 고려했을 때 백신 접종 이후 나타나는 이상반응 보다 접종을 통한 감염 예방이 더 이익이라는 입장을 냈다.

박 팀장은 “이 부분에 대해서 검사가 진행되면 시도 신속대응팀, 중앙의 피해조사반 심의를 통해서 관련성에 대해서 평가가 진행될 예정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환자는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으로, 지난 3월10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 받았다. 접종 후 두통과 오한 증상이 있었고, 14일에는 구토 증상이 동반돼 15일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다.

진료 중 혈액검사, 영상 의학 검사 등을 실시한 결과 혈전증과 뇌 병변이 확인됐다. 당초 이 환자는 두통으로 인한 입원치료로 이상반응이 신고됐으나 혈전증 소견이 나오면서 이 증상도 이상반응 신고 시스템에 신고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1-03-20 23:05:10

    안전한 접종결과를 위해서는 뇌가 없는 무뇌통치자를 제일 먼저 접종시키고 안전성 발표를 하는 것이 피차에 면목을 세우는 방법이다.

  • 2021-03-21 01:03:32

    혈전발생에 관한 철저한 대비를하라 !

  • 2021-03-20 23:37:49

    인간에 대한 혈전생성 실험은 이 정도로 하고 이제 곧 이어 Chimpanzee의 변종 중에서 인간에 가장 가까운 Moonpanzee에게 접종시켜서 혈전 생성 실험을 하여라.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