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 대응하기 위해 업체들이 자가진단 키트를 빨리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감염병 전문가들 사이에서 자가진단 키트를 두고 여전히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자가진단 키트를 이용하자는 쪽은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증상인 확진자가 자가진단 키트를 이용, 확진 사실을 알게 된다면 더 빨리 코로나19의 전염을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만 엄중식 가천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체 인구의 1%인 50만명이 매일 검사를 하면 100일 남짓이면 다 검사한다. 전 국민을 석달에 한번 검사하면 무슨 효과가 있을까”라고 적었다.
엄 교수는 “(이중) 1%만 위양성(가짜양성)으로 나와도 하루에 50만명 검사하면 매일 5000명씩 위양성자가 나온다. 그 다음은 어떻게 처리하느냐”며 “하루 10만개 이하만 판매해서 조절한다? 그 정도는 지금 진단 역량으로도 24시간 이내 한 번에 확진 여부가 결정된다”고 지적했다.
또 “자가진단 키트로 확진되면 바로 격리 결정할건가? 생활치료센터와 전담병원 병상 다 합쳐서 하루에 5000명 입실이 안 된다. 어디로 들어갈지 누가 결정하고 누가 옮겨주나. 2차 확진검사를 해야하면 이 양성자들을 어떻게 분리해서 검사를 진행하고 어디서 대기시킬 것인가”라고도 주장했다.
실제 방역당국이 자가진단 키트 활용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지난 1일 이후 이런 의견은 꾸준히 나오고 있다.
김탁 순천향대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당시 Δ선별진료소나 응급실처럼 양성률이 높은 곳에서는 민감도가 낮은 간이항원검사 때문에 진단이 안 되는 사례를 만들 수 있고 Δ자가검사로 음성이 나왔다고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자가검사에서 양성이 나왔을 때와 음성이 나왔을 때 어떻게 대처하고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정밀한 알고리즘과 지침도 필요하다는 것.
일단 당국은 자가진단 키트가 환자 확인의 보조 수단에 그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지난 2일 열린 전문가 회의 결과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검사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행을 꺾을 수 있는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가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실제 감염 재생산지수가 오르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가능성은 높아지는 모양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감염자 1명이 또 다른 감염자를 낳는 정도를 뜻하는 지표다. 지수가 1 이상일 경우 감염자 1명으로부터 또 다른 감염자 1명이 발생한다. 이 경우 감염자가 두 배로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유행이 빠른 것으로 판단한다.
오는 12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단계 격상 여부는 오는 9일 발표될 예정이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