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 점검회의’를 열고 백신 수급 계획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19 4차 유행이 현실화된 만큼 각 부처가 고위험 시설 방역을 담당하는 ‘장관 책임제’ 시행을 검토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열리는 회의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범부처 총력 대응을 지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방안 중 하나가 장관책임제다. 예를 들어 병원 및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 장관,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안전부 장관, 학교 등 교육 현장은 교육부 장관이 해당 시설 방역을 책임지고, 이후 그 성과를 정부 차원에서 공유한다는 것이다.
이 방안은 12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특별방역대책 점검회의’에 보고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회의에 대해 “문 대통령이 각 부처 장관들과 함께 4차 대유행을 막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백신 수급 대책보고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11일 방역당국이 만 30세 이상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재개를 선언한 만큼, 그 후속대책이 논의된다. 당초 정부가 2분기(4~6월) 도입을 목표로 세부 일정과 물량에 대해 협상을 펼치고 있는 미국 얀센, 노바백스, 모더나 등의 공급 계획도 함께 보고될 것으로 전망된다. 질병관리청 고위관계자는 “노바백스 원료 확보 등 최신 협상 상황에 대한 진전된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자가진단키트 도입, 임시선별검사소의 비수도권 확대 등 새로운 방역 대책도 이날 보고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