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서울시 자체적인 방역대책을 놓고 정부와 온도차가 발생하고 있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예방법엥 따라 지자체장이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같이 인구 밀집과 면적이 좁은 국가에서는 전국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협의를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자체 유행 특성 고려해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은 자율적으로 하되 핵심 방역수칙은 하나의 안으로 통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면서 “기본적으로 자율성과 핵심방역수칙 준수라는 방향을 갖고 협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은경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부산이나 서울 강남구 사례를 보면 유흥시설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어렵고, 지하 밀폐 공간에서 장시간 있는 특성이 있다”며 “불법 영업도 확인돼 (집합금지)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시설을 통한 추가 전파를 최소화해 소중한 일상을 유지할 수 있다”며 “그렇지 못할 경우 제재나 현장단속 강화 등 인위적 조치를 시행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지금이 ‘4차 유행’ 초기라는 점도 우려스럽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주간 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606.7명을 기록해 600명을 넘어섰다. 전일 559.3명보다 47.4명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상 33일째 2.5단계(1주간 지역발생 일평균 400~500명 이상) 수준을 유지했다.
감염병 전문가들도 정책 일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재훈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4차 유행을 시작한 계기 중 하나가 비수도권 유행”이라며 “하나 지역은 풀어주고, 하나의 지역은 막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효과가 없다”며 정책 일관성을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