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수급을 두고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당초 5월 도입 예정이었던 모더나 백신은 올해 하반기로 도입이 늦춰졌다. 아스트라제네카(AZ)·얀센 백신의 혈전 논란, 미국의 3차 접종(부스터샷)으로 국내 수급 여건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11월 집단면역’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8월부터 일부 백신의 국내 대량 위탁 생산 전망과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백신 스와프’ 기대감 등이 작용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지난 20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모더나 백신 2000만명분 도입과 관련 “상당 부분 상반기에는 물량이 들어올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하반기에 들어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문재인 대통령이 모더나 최고경영자(CEO) 스테판 반셀과의 통화에서 오는 5월 공급을 약속한 것에서 더 뒤로 밀린 것이다.
앞서 모더나는 지난 12일 미국에 2억회분을 우선 공급한다고 밝히면서 미국 외 지역의 경우 공급망 구축이 미국보다 1분기 정도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홍 대행의 발언은 이같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모더나 백신 외에도 국내 도입이 예정된 백신들의 수급 논란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AZ백신은 희귀혈전증 논란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30세 미만은 접종에서 제외됐다. 지난 20일 0시 기준 돌봄종사자·항공승무원 등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예약률은 58.6%에 그치면서 앞선 접종 대상자의 동의율과 비교하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AZ백신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 플랫폼을 활용하는 존슨앤드존슨(J&J) 자회사 얀센의 코로나19 백신도 희귀 혈전 논란에 휩싸였다. 약센 백신은 국내에 600만명분이 도입될 예정이라 더욱 주목된다. 유럽의약품청(EMA)은 얀센 백신과 희귀 혈전 사이에 인과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접종으로 인한 이득이 잠재적 위험을 능가한다고 평가했다. AZ 백신처럼 사실상 사용을 권고한 것이다.
그러나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얀센 백신의 최대 생산시설 중 하나인 볼티모어 이머전트 바이오솔루션스 공장에 제조 증단 명령을 내린 상황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FDA는 오는 23일 얀센 백신의 접종 재개 여부를 결정한다. 전문가들은 접종 재개 결정을 점치고 있으나, 만에 하나 접종 중단이 결정되면 한국으로선 백신 수급에 큰 차질을 빚는다. 물론 접종 재개가 결정되더라도 희귀 혈전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노바백스 백신은 이르면 6월부터 올해 3분기까지 1000만명분이 도입되지만, 나머지 1000만명분의 도입 일정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 11월 집단면역을 위해서는 최소 10월까지는 도입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 화이자 백신을 두고서는 전세계가 쟁탈전을 벌이는 상황이다. 화이자 백신은 모더나 백신과 같이 mRNA 플랫폼 백신이다.
이스라엘은 지난 20일 화이자와 추가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으며, 일본도 같은날 스가 총리가 직접 나서 1억회분 가량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연합(EU) 역시 1억회분을 추가 계약했고, 브라질도 화이자 백신 추가 구매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미국에서는 3차 접종(부스터샷) 가능성까지 언급되고 있어 화이자 백신의 공급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백신 1차 접종자는 177만1407명으로 전국민 5182만5932명(통계청 2021년 1월 말) 기준 3.42%를 기록했다. 집단 면역 목표인 70%까지는 갈 길이 멀다.
◇8월 대량 위탁생산 가능성…한미정상회담 기대 “스와프 진지하게 협의”
다만 정부는 이같은 백신 수급 우려에도 ‘11월 집단면역’에 자신감 있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20일 출입기자단 온라인 백브리핑에서 단기 목표로 설정한 상반기 1200만명 접종에 대해 “두달만 지나면 6월말이 된다. 6월까지 정부가 약속한 1200만명 접종이 실현되는지 봐달라”고 말했다.
홍정익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기획팀장도 20일 정례브리핑에서 “3600만명의 1차 접종은 11월의 2개월 전인 9월까지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2차접종까지 하면 11월까지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자신감에는 일부 백신의 국내 대량 위탁생산 전망과 오는 5월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기대 등이 깔린 것으로 읽힌다.
앞서 정부는 국내 한 제약사가 오는 8월부터 해외 제약사의 백신을 대량 위탁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대량 공급이 가능해져 백신 물량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 제약사 백신 물량이 모더나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오는 5월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백신과 관련 성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지난 20일 국회에서 한미 백신 스와프를 협의하고 있다고 밝힌 것 역시 한미 정상회담에서 성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우선 미국의 잔여 백신을 공급받고, 우리나라가 위탁 생산할 수 있는 AZ·노바백스 백신을 돌려주는 방식이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다.
정 장관은 21일 관훈토론회에서도 과거 우리 정부가 미국에 진단키트와 마스크 공급한 사례를 언급하며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우리가 미국을 도와줄 수 있는 분야가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를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과 (백신 스와프와 관련해) 진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