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은 올 3분기(7~9월)에도 ‘백신 선택권’을 국민에게 부여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단 접종 대상자가 가장 적절한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매칭해서 접종을 안내할 예정이라고 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27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3분기에도 본인이 희망하는 백신을 맞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3분기가 되면 화이자, 모더나, 노바백스 등 굉장히 다양한 백신이 더 공급될 계획”이라며 “거기에 맞춰서 3분기 예방 접종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 청장은 이어 “(다양한 백신이 공급되면) 백신의 특성에 따라 백신을 맞을 수 있는 접종기관이 달라질 것 같다”며 “백신 종류와 접종기관, 그 특성에 맞는 가장 적절한 접종 대상자를 매칭해서 접종을 안내하도록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3분기에는) 백신이 좀 더 다양해진다는 얘기”라며 “선택권을 드릴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백신 부작용 등을 이유로 국민에게 백신 선택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는 접종에 속도를 내야 해서 선택권을 줄 수 없다는 입장.
김기남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전 국민 대상 접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백신 선택권을 부여하기보다는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통해서 대상자별로 백신을 결정하는 체계를 계속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