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전역의 민생치안 도맡아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노인-여성-청소년 맞춤형 치안과
획기적인 교통 서비스 도입 검토
“시민들께서 자치경찰제가 도입돼 만족스럽다고 평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정용환 부산자치경찰위원장(68)은 최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자치경찰제가 의미 있는 첫발을 내디디는 데 기여하게 돼 큰 영광”이라며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낀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30여 년 경찰관으로 근무했던 그는 지난달 6일 출범한 부산자치경찰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자치경찰제는 기존 국가경찰 업무 중 교통, 생활안전, 여성·청소년·노인 보호 등 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지방자치단체가 도맡는 제도다. 정 위원장은 “경찰권에 대한 민주적 통제와 지방분권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라며 “부산지역 실정에 맞는 경찰활동을 해달라는 시민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는 게 숙제”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과 함께 위원회에 소속돼 정책과 제도를 심의·의결할 6명의 위원도 선정됐다. 상공계, 학계, 경찰 출신 등이 골고루 포함됐다. 위원회는 이달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다음 달 1일부터 정식 운영된다.
정 위원장은 “자치경찰사무에 관한 목표의 수립, 주요 정책, 자치경찰 사무 담당 공무원의 임용,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업무 조정 등의 중요한 사무들을 위원회에서 다룬다”며 “위원회가 자치단체장 소속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자치단체장이 위원회 업무에 부당하게 관여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다”고 설명했다. 위원회 조직은 1국 2과 6팀으로 구성됐다. 부산시에서 24명, 부산경찰청에서 13명, 부산시교육청에서 2명의 직원이 파견돼 근무 중이다. 사무실은 연제구 부산시청 맞은편의 국민연금관리공단 건물 내에 마련됐다.
정 위원장은 자치경찰제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 민생치안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겠다고 약속했다. 지금까지는 한 지역에서 강력범죄가 발생하면 해당 지역에 배치된 지휘관과 경찰력이 한정돼 있어 충분한 자원이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부산 전역의 민생 치안을 자치경찰위원회가 맡게 돼 예전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치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 위원장은 “부산경찰청과 부산시를 자주 오가면서 치안 서비스와 시의 복지 서비스를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노인과 여성, 청소년의 입장을 고려한 치안 서비스, 시민들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교통 서비스를 이르면 하반기에 내 놓을 수 있도록 위원들과 심도 있게 논의 중”이라고 했다.
경남 하동 출신인 정 위원장은 1983년 간부후보 31기로 공직에 들어왔다. 밀양서장과 금정서장 등을 거친 뒤 부산경찰청 보안과장을 끝으로 2013년 12월 경찰생활을 마무리했다. 그는 “처음 시행되는 제도여서 시행착오도 있겠지만 시민들께서 긍정적 변화를 체감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오직 시민의 행복만을 위해 소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