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튀김을 환불해 달라는 고객의 지속적인 항의와 배달 앱 ‘쿠팡이츠’ 측의 압박에 시달린 김밥가게 업주가 뇌출혈로 사망한 가운데 유족이 “손님과 업체 둘 다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 울분을 토했다.
숨진 50대 업주의 자녀 A 씨는 23일 CBS 라디오 프로그램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어머니가 쓰러진 뒤 법적 대응 한다고 했을 땐 별말 없었던 쿠팡이츠가 언론에 보도되니 그제야 뒷수습하기 바쁘더라”며 이같이 말했다.
A 씨는 이어 “고객은 오히려 억울하다고 한다”며 “돌아가신 분보다 뭐가 그렇게 억울한지 이해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사건 이후 아버지가 고객에게 개인적으로 연락을 했는데 그 사람은 ‘왜 나한테 그렇게 말을 하냐, 그쪽이 잘못해서 쓰러진 건데 왜 나한테 책임을 묻냐’는 식으로 말했다”고 전했다.
가게로 찾아왔다는 쿠팡이츠 관계자에 대해서는 “‘할 말 없다’고 돌려보냈다”며 “(어머니는 이미) 돌아가셨고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인데 이제 와서 뭐 어떻게 하느냐. 정말 어이가 없었다. 초반에 대처를 잘했더라면 저희도 이렇게까지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A 씨는 어머니와 마지막 말도 나누지 못한 채 떠나보냈다며 “너무 억울하고 기가 막히다”고 했다. 그는 “건강하셨던 어머니는 (쓰러지고 나서) 뇌사상태로 계시다가 3주 뒤에 돌아가셨다”며 “쿠팡이츠와 고객과 전화하다가 마지막을 보내셨다는 게 억울하고 답답하다”고 전했다.
앞서 서울 동작구에서 김밥가게를 운영하던 A 씨의 어머니 B 씨는 지난달 8일 쿠팡이츠를 통해 주문한 고객이 ‘새우튀김 색깔이 이상하다’며 환불을 요구하자 해당 금액을 환불해줬다. 이 과정에서 고객은 B 씨에게 ‘부모가 그렇게 가르쳤냐’는 등 폭언을 일삼았고, 배달 앱 측에 항의해 음식값 전액을 환불받은 뒤에도 리뷰와 별점 테러까지 감행했다.
당시 쿠팡이츠 측은 고객의 항의 내용을 B 씨에게 전달만 할 뿐 중재 시도를 하지 않았다. 이들은 B 씨가 쓰러져 병원에 이송되는 와중에도 ‘B 씨에게 항의 내용을 전달해 달라’는 메시지를 가게 직원에게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커지자 쿠팡이츠는 사과와 함께 재발방지대책을 발표한 상태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1-06-23 14:18:06
인간의 탈을 쓴 악종, 안의 씨는 엄연히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