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율은 전체 연령에서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 후 신고율이 높았다.
이상 반응으로 신고된 사망자 현황은 373명으로 접종 10만건 당 1.91명 수준이다. 백신 별로 아스트라제네카 158명(1.39명·10만건 당), 화이자 213명(3.04명), 얀센 2명(0.18명)이다. 모더나 접종 후 사망 신고된 사례는 아직 없다.
지난 3일까지 예방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 건 중 신고일 이후 환자 상태가 사망으로 변경된 사례는 137건이다. 이를 포함할 경우 사망 누계는 510명이다. 백신 별로 아스트라제네카 212명, 화이자 295명, 얀센 3명이다.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율은 접종 초기 대비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최근 4주간 이상 반응 신고율을 보면 ▲6월6일~6월12일 0.54% ▲6월13일~6월19일 0.58% ▲6월20일~6월26일 0.23%를 기록했다.
추진단은 백신 접종 후 안전을 위해 이상 반응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접종 완료자는 접종 후 15~30분간 접종 기관에 머물러 이상 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해야 하며, 귀가 후 최소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되며, 고열 등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사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날 경우 즉시 119로 신고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추진단은 “3분기 화이자, 모더나 등 mRNA 백신이 주로 접종될 계획인 만큼 mRNA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반응인 심근염, 심낭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이 같은 증상이 발생하거나 악화해 지속하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고, 의료기관의 경우 이상 반응을 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