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서울 40도 ‘극한 폭염’ 가능성…기상청 “폭염 맞지만 예단은 아직”

  • 뉴스1
  • 입력 2021년 7월 16일 13시 28분


서울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지난달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민들 앞으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0.6.9/뉴스1 © News1
서울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지난달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민들 앞으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0.6.9/뉴스1 © News1
다음주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40도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최악의 폭염이었던 2018년에 버금가는 더위가 나타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6일 민간 기상전문업체 케이웨더의 반기성 센터장은 중부지방과 강원 영서지방을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40도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 센터장은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지상기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850h㎩의 고도를 보면 영국모델(UM)은 지금보다 기온이 현재 18~19도에서 21~22도로 최소 2~3도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일 이후에는 뜨겁고 습한 북태평양고기압 고기압의 축이 올라와 중심이 우리나라 쪽에 위치하면서, 지금(15일 서울 기준 낮 기온 34.5도)보다 3~4도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반 센터장은 말했다.

그는 “더욱이 동풍이 불어오면서 기온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동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 고온 건조한 공기로 바뀌어 서쪽 지방을 중심으로 기온이 크게 오른다. 2018년 강원 홍천 41도, 서울 39,6도의 기록적인 폭염도 동풍 때문이었다.

반 센터장은 “유럽기상청 예보를 보더라도 20일 넘어서면 굉장히 더운 형태로 나온다”며 “동풍에 대기 상층 기온까지 더해진다면 서울과 강원 영서 지방을 중심으로 40도 근처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기상청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다음 주 예보는 변동성이 커 섣불리 말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40도는 일반적인 온도가 아니라 나타나기 굉장히 어려운 온도다. 현 시점에서 다음주 40도까지 오를 수 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오는 20일 이후 지금보다 한 단계 강한 폭염이 덮친다고 보는 것은 공통적이다.

기상청은 전날 브리핑에서 “20일부터는 하층의 북태평양고기압 기단과 상층의 티베트 고기압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열돔 형태의 폭염이 나타날 수 있다. 지금보다 기온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했다.

열돔은 두 고기압이 햇볕을 받아 달궈진 지표면 부근의 열을 가두는 현상이다. 열돔에 갇힌 지역은 기온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2018년 폭염도, 올해 미국 북서부 지역 최고 기온이 50도까지 치솟은 것도 캐나다에서 700여명이 돌연사한 것도 열돔 현상 때문이었다.

기상청은 다음주 내내 낮 기온이 33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상청 중기 예보를 보면, 서울의 낮 기온은 19일 33도, 20~23일 34도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춘천과 대구 등은 35도까지 오르고, 전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33~34도까지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올해 더위가 2018년 수준일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2018년 전국 폭염일수는 31.4일로 1973년 관측 이래 최고를 기록했고, 48명이 온일질환으로 사망했다.

현재의 기압계를 보면 대기 상층부로 열기가 쌓이는 전개 양상이 2018년과 비슷하고, 북태평양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 발달 정도나 강도는 평년과 비교해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상청 관계자는 “극한의 폭염은 열돔 현상과 더불어 뜨거운 열기가 장기간 지속돼야 하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도 올여름 더위가 약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폭염 재난 상황에 따른 피해 예방책과 전력 수급 대책 등을 잘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도 “최근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의 반경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폭염이 오면 60대 이상이 가장 취약하다. 폭염 강도도 세지고 고령화로 폭염 피해 인구도 늘어나는 추세이니 더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