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모더나 접종자 사망’ 뒤늦게 인과성 조사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8월 12일 03시 00분


제주도, 20대 혈전증 검사 의뢰
질병청 “기준 부적합” 거부 뒤 숨져
의협 “행정편의적 결정” 비판

모더나 백신을 맞은 20대 여성이 혈전증 증상을 보여 질병관리청에 연관성 검사를 의뢰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여성은 치료를 받다가 숨져 사망과 접종이 어떤 인과성이 있는지 밝혀내기 힘들어졌다.

11일 제주도에 따르면 20대 여성 A 씨는 지난달 26일 제주의 한 위탁의료기관에서 모더나 백신을 맞은 뒤 닷새 만인 같은 달 31일 혈전증 증상을 보였고 종합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제주도는 A 씨에 대한 중증 이상반응 신고를 받고 접종 이상 반응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인인 역학조사관의 의견 등을 근거로 질병청에 모두 3차례 혈소판감소성혈전증(TTS) 검사를 의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제주도가 검사를 의뢰할 방법을 찾는 도중 병원 치료를 받던 A 씨는 7일 숨졌다. 제주도 관계자는 “미국에서 모더나 백신 접종 후 TTS 발생 사례가 있었던 점 등을 들어 질병청에 3차례 검사를 요청했다”며 “질병청이 혈전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이 검토했는데 검사가 필요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A 씨의 경우 TTS 검사 기준에 부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TTS는 아스트라제네카(AZ)나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주로 젊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Z나 얀센 백신을 맞은 뒤 의심 증상이 나타났을 때만 TTS 검사를 한다.

질병청 검사의뢰 기준도 △아데노벡터 백신(AZ, 얀센) 접종 후 4∼28일 이내에 TTS 의심 증상 발생 △혈소판 수가 μL당 15만 개 미만 △혈전 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디-다이머(D-dimer)’ 검사 수치 상승 △영상 검사 등으로 혈전이 확인된 경우 등이다.

조은희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장은 10일 브리핑에서 “전 세계적으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생긴 문제에 대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라고 정의가 돼 있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해당 사례에 대해 전문가에게 자문하고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에서 인과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한의사협회는 10일 “의료진의 판단을 외면한 질병청의 형식적이고 행정편의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제주도는 자체적으로도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더나 접종자 사망#인과성 조사#혈전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1-08-12 06:43:00

    이건 심각한 문제이다.모더나 접종 인원이 많지 않은 상태에서 혈전증으로 사망했다면 숨길것이 아니라 철저한 조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 젊은층은 주로 모더나를 접종하는데 젊은층에서 백신으로인한 사망 사례를 알고 대처해야 더 많은 희생자를 줄일수있다..

  • 2021-08-12 07:36:14

    인과성이 있어도 있다고 인정하겠어. 이게 문재인정권이 송두리채 무너질텐데. 이처럼 국민을 속이고 선동질하는게 다반사이고 이정권의 근간이며 핵심인데

  • 2021-08-12 10:56:31

    '드루킹 댓글 조작'의 최대 피해자는 홍준표다. 드루킹과 김경수의 유죄판결로,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이 경찰이 신청한 압수,수색영장을 거듭 기각하는 등 사건을 은폐하자, 문재인 정부에 맞서 투쟁과 정치력으로 드루킹특검법을 통과시킨 것은 홍준표 당대표의 업적으로 남게 되었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