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보육공백 방지’ 서울 어린이집에 17억원 긴급 지원

  • 뉴스1
  • 입력 2021년 8월 12일 11시 21분


수도권의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된 지난달 12일 서울의 한 어린이집에 휴원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1.7.12/뉴스1 © News1
수도권의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된 지난달 12일 서울의 한 어린이집에 휴원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1.7.12/뉴스1 © News1
서울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격상에 따른 휴원과 긴급보육 전환으로 정상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린이집에 7~8월 두 달간 17억4000만원을 긴급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대상은 Δ재원 아동 감소로 보육교사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민간·가정 어린이집 Δ정부 지원 사각지대에 놓인 외국인 아동이 다니는 어린이집이다.

다만 교직원이 없거나 운영정지 등 행정처분이 진행 또는 예정된 곳은 제외된다.

민간·가정 어린이집은 인건비 일부를 공공에서 지원받는 국공립과 달리 교직원 인건비와 시설 운영비를 보육료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용 아동 수가 감소할 경우 보육교사 고용유지가 어려워지고, 보육서비스의 공백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특히 영아반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출생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데다 코로나19 장기화까지 겹치면서 아동 수가 크게 줄어 어려움이 가중됐다.

이에 서울시는 영아반(만 0~2세)을 운영하는 민간·가정 어린이집 2455개소 8166개 반에 운영비 보조금으로 총 13억4000만원을 긴급 지원한다.

‘0세반’의 경우 기존에 반별로 월 20만원을 지원받는데, 7~8월에는 50%를 추가해 총 3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외국인 아동이 다니는 어린이집에는 보육교사 고용안정을 위해 총 4억원을 지원한다.

내국인 아동은 정부의 보육료 지원을 받기 때문에 코로나19 사유로 어린이집에 미등원할 경우에도 어린이집에 아동당 보육료가 지원되지만, 외국인 아동은 정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어 보육료 전액을 자부담해야 한다.

영등포·구로 등 외국인 아동 재원율이 높은 어린이집의 경우 코로나19로 아이들이 등원하지 않으면 보육료 수입에 차질이 생겨 운영에 어려움이 큰 상황이다.

시는 외국인 아동수가 전체 정원의 10%를 초과하는 국공립, 민간·가정 어린이집 218개소에 어린이집별로 영아 1인당 10만5000원, 유아 1인당 17만원을 지원한다.

해당 지원금은 어린이집 교사 고용 유지를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코로나 장기화로 부모, 아동, 어린이집 관계자 모두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번 지원이 어린이집의 운영 상 어려움을 덜어드리는데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