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혁신성장 종합지수’서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로 평가
첨단산업 인프라 대폭 확충하고
글로벌 기업 본사 유치에 앞장
부산시가 재도약을 위해 ‘혁신 성장’을 시정의 최우선 목표로 제시했다. 이는 부산의 성장 동력이 열악하다는 사실이 각종 지표에서 드러난 데 따른 것이다.
17일 산업연구원(KIET)의 ‘지역별 혁신 성장 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 대응 기본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혁신 성장 종합지수는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로 평가됐다. 연구 단지를 기반으로 과학 기술에 집중한 대전이 1위로 꼽혔고 서울, 경기, 인천이 뒤를 이었다.
부산은 광역시 중 유일하게 ‘혁신 성장 취약형’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취약형에 분류된 부산, 강원, 전남 등은 저출산, 고령화로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거나 청년 등 생산 가능 인구의 유출로 혁신 성장 주체인 ‘사람(노동력)’ 부족 현상이 발생 중인 곳”이라고 밝혔다.
산업연구원은 혁신 성장 역량이 높은 지역일수록 기술개발(R&D), 산업구조 고도화, 고부가가치 기업 입지, 경제 성장률 등 지표가 우수하다고 분석했다. 또 성장 역량이 부족한 지역은 ‘인재양성·R&D 강화-기술사업화 촉진-창업 활성화-신산업 기반 구축-인재양성·R&D 강화’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게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심재운 부산상공회의소 경제정책본부장은 “부산은 지방에서는 대학이 많아 사실상 R&D 경쟁력은 떨어지지 않는다”고 전제하고 “그런데도 인재 유출이 심하고 산학협력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혁신에 소극적인 기업 마인드와 대기업 하청 중심의 산업 기반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부산의 위기 상황은 다양한 분야에서도 감지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부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2741만 원(2019년 기준)으로,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꼴찌를 기록했다. 인구도 올 상반기에만 1만여 명이 빠져나갔고 지난달 말 기준 인구의 19.89%가 65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광역시 중 처음 65세 이상이 총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 도시’로의 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도시의 신성장 동력인 창업 부문도 열악하다. 부산상공회의소가 5월 발간한 ‘부산지역 스타트업 현황과 실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부산지역 창업률은 전국 17개 시도 중 15위에 머물렀다. 창업률은 신생 기업수에서 총 활동 기업수를 나눈 수치. 특히 최근 5년간 부산에서 창업한 기업 중 기술 기반 기업은 14.52%로, 이는 전국 평균인 16.03%보다 낮다. 보고서는 “기술 기반 창업이 감소하는 대신 고용 창출 능력이 떨어지는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창업이 크게 증가하는 건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부산시는 이에 따라 신성장 동력을 만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시간이 촉박하고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부산은 재도약할 수 있는 희망이 충분한 도시”라고 말했다. 그는 동아시아 해양물류 거점 등 지정학적 위치와 가덕신공항 건설로 인한 교통 인프라 강화, 에코델타시티 및 제2센텀 부지 등 첨단산업 유치를 위한 인프라 확충 등을 ‘부산 재도약 가능성’으로 제시했다.
부산시는 혁신성장을 위해 산학협력 총괄 플랫폼인 지·산·학 협력센터 설립과 연간 3000여 명의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인력과 200여 명의 청년 창업가 양성 등을 단기 시정 목표로 내걸었다.
박 시장은 “ICT·문화콘텐츠·수소 등 신산업 분야를 육성하고 도시 전체를 창업의 테스트베드로 만들겠다”며 “단순한 투자 유치를 넘어 국내외 유력 기업의 본사 혹은 지사 유치에도 적극 앞장서 새로운 부산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