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출범한 일상회복지원위원회가 일상 회복 과정에서 유행 증가 위험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이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방역 당국이 전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날 오전 지원위 첫 회의에서 이같이 합의됐다고 전했다.
손 반장은 이 회의에서 전체적 방향성, 해외 사례, 향후 주제 등을 논의했다면서 “전반적으로 잘 준비해서 국민의 불편과 서민경제의 애로가 조속히 회복될 수 있는 일상회복을 잘 달성해야 한다는 점과, 이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유행이 증가할 수 있는 위험성은 있으나 일상회복을 위한 노력을 중단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위원들이 강조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의 안전과 안정적인 방역상황을 위해 단계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방역규제들을 해제해야 한다고 하는 의견들도 함께 공감했고 건강상 또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서민층들을 비롯한 사회 취약층들에 대해서 두터운 지원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의견을 나누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각 분야별 분과위원회를 조속히 개최하여 이를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위드코로나’로 연착륙하기 위한 민관 합동기구인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는 이날 앞서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장에서 단계적, 포용적으로 국민과 함께 일상을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원위는 10월 말을 목표로 ‘단계적 일상회복 로드맵’을 마련하고, 11월 초 ‘단계적 일상회복 방안’을 국민에게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원위는 공동위원장 2명, 정부 위원 8명, 민간 위원 30명 등 총 40명으로 구성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