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은 감염병 관련 국가 연구기관, 국제백신연구소 등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해 감염병 진단과 치료제·백신 연구·개발에 나선다.
특히 백신 부문에서 기술 국산화 목표를 올해 목표였던 50%에서 2026년까지 70%로 높인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1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정례 브리핑을 통해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022~2026년)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제3차 추진전략은 지난 12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8차 심의회의에서 의결됐다.
이번 추진전략은 양적 투자를 확대한 지난 두 차례 추진전략과 달리 투자 효율성 강화를 고려했다. 당국은 국산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고, 주요 방역 물품을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확보해 감염병 대응 수준을 높이기로 했다.
추진전략으로 ▲국가 감염병 연구·개발 책임 기반 강화 ▲감염병 위기 극복 핵심기술 조기 확보 ▲감염병 연구 협력 생태계 확대 ▲전 방위 미래 방역체계 구현 등 네 가지를 세웠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를 중심으로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환경부·식약처 등 9개 부처·청 산하 감염병 관련 국가 연구기관 13곳, 국제백신연구소 등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한다.
협의체는 국가 연구기관과 국제백신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총괄위원회, 사업단과 관련 인프라를 보유한 실무위원회로 구성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평시에 현장 수요를 발굴하는 등 자율적인 연구를 수행하되 기관에 맞는 연구 영역을 확립해 이행한다. 연구 성과는 향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염병 위기 땐 국가 필요 주문형 연구와 감염병 진단·치료제·백신 등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협력 규칙을 마련한다. 당국은 당초 지난해 6월 발표했던 ’2020년 말까지 치료제 1종 개발 및 올해 연내 백신 1종 생산‘ 목표를 세운 바 있다. 그러나 당국은 이날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당국은 이번 추진전략을 통해 백신 기술 국산화율을 올해 목표였던 50%에서 2026년까지 70%로 높일 계획이다. 방역 전략물품 국산화는 올해 2개에서 2026년까지 11개로 늘린다. 감염병 대응 기술 수준은 지난해 목표 80%에서 2026년까지 실제 85% 달성을 위해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감염병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크게 늘렸다.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감염병 연구·개발 투자 비용은 1조2864억원 규모였지만, 올해 예산 규모는 주요 사업 기준으로 4376억원을 배정했다. 이는 지난해 3534억원 대비 24.9% 늘었다.
권준욱 방대본 제2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은 “언제든 신종 감염병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고, mRNA(메신저 리보핵산) 플랫폼으로 의료 패러다임이 바뀌는 순간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백신과 치료제 개발 능력은 반드시 확보돼야 한다”며 “추진전략과 국내 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성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연구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