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강원 평창군 대화면에 있는 서울대 평창캠퍼스 정문 앞. 2014년 문을 연 평창캠퍼스 정문 출입구에 있는 왕복 4차선 도로는 사람이나 차량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한산했다. 캠퍼스 면적은 본교인 관악캠퍼스보다 넓은 277만 m². 학생보다는 청소나 시설 정비를 하는 직원들이 주로 눈에 띄었다.
기업들이 입주해 있는 산학협력센터 내 사무실은 대부분 불이 꺼져 있었다. 군데군데 공실이 눈에 띄었다. 서울대 산학협력팀 관계자는 “장기간 출근하는 직원이 없었던 사무실도 있다. 다른 동에서 연구하고 계신 분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의 서울대 국정감사에서는 3000억 원 이상의 비용이 투입된 서울대 평창캠퍼스가 기대했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준공 후 8년이 지났지만 산학협력과 국가 균형발전,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당초의 조성 취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는 본부와 주요 학부, 대학원이 있는 관악캠퍼스와 의학 계열 및 병원이 위치한 연건캠퍼스에 이어 2014년 평창에 첫 지방 캠퍼스를 만들었다. 2025년경 자율주행 등 4차 산업 관련 연구 시설이 밀집한 시흥캠퍼스가 준공될 예정이다. 그린바이오 첨단연구단지를 지향하는 평창캠퍼스에는 국제농업기술대학원과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등이 들어와 있다. 2040년까지 입주 기업 40개와 상주 인력 5000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실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평창캠퍼스 산학협력동의 공실률은 49%에 달한다. 36만 m² 규모인 산학협력단지에는 입주한 기업이 현재 11곳에 머물고 있다. 이들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수를 모두 합해도 58명이다. 서울대가 자체 제조하는 두유 브랜드인 ‘대학두유’ 소속 직원 17명을 제외하면 기업당 평균 직원 수가 4.1명 정도인 것이다. 출근하는 직원이 1, 2명에 불과한 기업도 있다.
강 의원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평창캠퍼스가 산학협력도, 지역 경제 활성화도 제대로 못 하고 있다”며 “엄청난 예산과 넓은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평창캠퍼스에서 진행된 지역 경제 협력사업은 5개 정도다. 이마저도 2개 사업은 지자체에서 주관하는 공모에서 탈락했다. 서울대가 이 두 사업에 지출한 사업비는 75억 원에 달한다. 평창시 관계자는 “평창캠퍼스에 상주하는 인원이 300명에 불과해 지역경제 진작 효과가 크지 않다”며 “좋은 연구 실적을 두고도 지역경제 협력이나 상품화에는 소홀해 별다른 기여를 못 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한 캠퍼스 입주 기업 대표는 “평창캠퍼스가 너무 멀리 있어 물류 비용이 많이 든다”고 했다.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원장으로 산학협력을 총괄하는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서울에서 차로 두 시간 넘게 걸리다 보니 기업들이 입주를 꺼리는 측면이 있다”면서도 “지난 8년 꾸준히 실적을 축적해 왔고, 정부가 시행하는 그린바이오벤처 캠퍼스 사업에 선정되면 산학협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상기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교수는 “평창은 천연자원과 동물 자원 등이 풍부하다”며 “영동고속도로와 KTX 등으로 접근성이 좋아 아이템을 발굴해 사업화하기 최적인 곳”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