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체육시설 종사자들 “방역패스, 거리두기보다 더 강한 규제”

  • 뉴스1
  • 입력 2021년 11월 3일 15시 21분


대한실내체육시설 총연합회 한 회원이 3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앞에서 실내체육시설 방역패스 반대집회에서 눈물을 훔치고 있다. 2021.11.3/뉴스1 © News1
대한실내체육시설 총연합회 한 회원이 3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앞에서 실내체육시설 방역패스 반대집회에서 눈물을 훔치고 있다. 2021.11.3/뉴스1 © News1
11월 들어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지침이 시행된 가운데 실내체육시설 종사자들이 체육시설에 적용되는 ‘방역패스’ 도입에 반발하고 나섰다.

대한실내체육시설 총연합회 회원들은 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방역패스 도입은 실내체육시설 종사자에게 4단계 거리두기보다 더 강력한 규제”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실내체육시설을 포함한 다중이용 13만개 시설을 대상으로 방역패스를 도입했다. 백신 미접종자의 경우 48시간 이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PCR검사결과, 음성이 확인돼야만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총연합회 회원들은 실내체육시설 종사자들의 생존권 보장과 손실보상금 확대를 요구했다.

박주형 총연합회 대표는 “실내체육시설을 고위험시설로 구분해 혐오시설로 낙인찍는 정부의 정책에 지쳤다”며 “실내체육시설 대부분은 10만원에 불과한 손실보상금을 받았다”고 말했다.

신주현 크로스핏 대한국민체육협회 대표는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1시간 이내의 운동을 하는 실내체육시설이 장시간 머무는 식당과 카페보다 훨씬 안전하다”며 방역패스 철회를 요청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