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에 비해 확진자가 크게 늘고 있지만 수도권에 대해서만 특별 방역 조치를 적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방역 당국이 11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오전 백브리핑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상 비상계획의 발동이 아니더라도, 수도권에 한정해 특별조치를 추가로 적용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손 반장은 “현재까지는 추이를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라고 본다. 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면 위중증 환자나 의료체계 쪽에서의 가동률이 올라갈 거라는 건 예상했던 바다. 벌써부터 방역 조치를 강화하는 조정을 하기보다는 좀 지켜보면서 증가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이로 인해서 의료체계에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는지를 판단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당국은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이 먼저 차게 될 경우 수도권의 환자를 타지역의 병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체계는 어떻게 마련되어 있는가 질문에는 수도권 병상지원팀에서 총괄해서 관리하고 있다고 답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현재까지 비수도권으로 후송하고 있는건 충청권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단은) 수도권 병상 지원팀에서 총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반장은 “이전에도 비수도권은 전체적으로 총괄하고 배정하는 것이 일괄로 이뤄지고 있지는 않지만, 병상을 동원하고 음압 병상 배정 등의 일부 권한은 국가가 가지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도권은 전체 체계가 마련돼 있다. 비수도권은 (충청권을 중심으로) 배정도 일부 이뤄지고 있고, 배정관리 팀이 움직이고 있다”고 요약했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520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국내 발생 확진자는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2001명(서울 999명, 인천 186명, 경기 816명)으로 전국 80.2% 비중을 차지했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