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및 정관계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14일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수감 중)를 불러 조사했다. 4일 서울구치소에 구속 수감된 지 세 번째 조사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검사)은 이날 김 씨를 상대로 대장동 개발사업에서 특혜를 받는 과정에서의 정관계 로비 의혹 등에 대해 집중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씨가 천화동인 소유주 남욱 변호사(수감 중),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 직무대리(구속기소) 등과 함께 대장동 개발을 공모하는 과정에서 김 씨가 사업 총괄과 언론 대응 및 로비 역할을 맡기로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2일 김 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유 전 직무대리에 대한 700억 원의 뇌물공여 약속과 5억 원 뇌물공여 등 혐의를 적시했다. 하지만 곽상도 전 의원에 대한 뇌물공여 혐의는 지난달 12일 첫 영장 청구서에는 포함시켰다가 영장이 기각되자 두 번째 영장 청구 때는 관련 내용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곽 전 의원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 등 수사가 미진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실제 곽 전 의원 뿐만 아니라 박영수 전 특별검사, 최윤길 전 성남시의회 의장 등 로비 의혹에 연루된 인사들을 향한 검찰 수사는 지지부진한 측면이 있다. 이른바 ‘50억 클럽’에 거명된 인사들 대부분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출석 조사를 받은 인사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안팎에선 김 씨 구속기간이 끝나는 23일 자정까지 뇌물 수사를 보강한 뒤 관련 혐의를 추가해 기소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국회에서 사직안이 처리되면서 현직 의원 신분을 상실한 곽 전 의원의 소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은 곽 전 의원이 화천대유가 포함된 하나은행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데 도움을 준 대신 아들 곽병채 씨가 화천대유에 취업한 뒤 퇴직금 등 명목으로 50억 원을 받은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또 재판 거래 의혹 등이 제기된 권순일 전 대법관을 상대로도 사실관계를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