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75만명…작년보다 9만명 감소, 코로나 여파 혼인-출산 급감한 탓
당초 2029년 첫 인구감소 예상 깨고 올해 인구절벽 시작…8년 앞당겨져
洪부총리 “저출산 내년 본격 대응”
한국의 총인구(국내 거주 외국인 포함)가 올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됐다. 인구가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인구 절벽’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8년 앞당겨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혼인과 출산이 줄고 외국인 유입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9일 내놓은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올해 총인구는 5175만 명으로 지난해(5184만 명)보다 9만 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총인구가 정점을 찍고 올해 처음으로 총인구가 감소하는 인구 절벽을 맞은 것이다. 총인구는 국내에 3개월 이상 거주한 내국인과 외국인을 더한 인구다.
통계청은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서 총인구가 정점을 찍는 시기를 2028년(5194만 명)으로 내다봤다. 2029년부터 총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봤지만 이 시기가 올해로 8년 앞당겨졌다. 코로나19로 결혼과 출산이 줄고 국내 외국인 입국이 제한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총인구는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약 6만 명씩 감소해 2030년에는 5120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2070년에는 총인구가 3766만 명으로 쪼그라들어 총인구 규모가 1979년 수준으로 돌아가게 된다.
문제는 코로나19 충격으로 인구 감소세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은 코로나19로 급감한 혼인이 저출산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2025년 이후에도 계속되는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선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이 올해 0.81명에서 2025년 0.52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장기화를 가정하지 않았을 때 합계출산율은 올해 0.82명에서 2025년 0.74명으로 예측됐다.
코로나19 충격이 장기화하면 2032년 총인구는 4989만7000명으로 감소해 5000만 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여파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5000만 명 붕괴 시점인 2041년(4999만8000명)보다 9년 빨라지는 셈이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이 부양해야 할 노인과 유소년 비중인 총부양비는 올해 39.7명에서 2070년 116.8명으로 늘어난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는 시나리오에서 2070년 총부양비는 136.4명으로 커진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번 인구추계 결과는 우리가 직면한 인구 절벽 위기를 다시 한번 경각시켜 줬다”며 “내년부터 저출산 대응 신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