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오는 17일께 방역 조치를 강화하는 ‘특단의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단정적으로 금요일에 (발표)한다고 할 순 없다”면서도 “월~화요일에 주말(·휴일)의 검사 숫자와 수~목요일에 확진자 규모 및 위중 상황에 대해 평가하게 된다”고 밝혔다.
박 반장은 “지금 전체 위험 지표들이 나아지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고 이런 확산세 속 중증화율을 낮춰줄 수 있는 접종률, 특히 3차 접종률이 35%대로 아직은 속도가 많이 보이지 않다”면서 “확산세를 어떻게 해서 더 막아낼 것인지, 병상 여력과 의료 부담을 어떻게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큰 숙제로 남아있다”고 했다.
이어 “엄중한 상황에 대해 다른 여타의 사회·경제적 현황까지 다각도로 고려해 현명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여 전했다.
앞서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엄중한 시기에 정부의 대책이나 조치가 우물쭈물하거나 미진할 일은 없다고 생각한다. (현 상황에) 맞는 조치는 이미 다 준비돼 있지만 그 카드는 그때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수요일과 목요일 상황을 지켜보자”고 말해 금요일인 17일 발표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박 반장은 또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차일피일 미룬다는 지적에는 “그 표현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반박한 뒤 “(국민과) 동일하게 저희(정부)도 엄중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전체 확진자 대비 위중증 상황과 사망자 발생 현황, 병상 가동률 등을 봤을 때 굉장히 엄중하다”고 했다.
그는 다만 “미접종자 및 3차접종 대상자의 접종률이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효과가 나타나기는 아직은 시간이 되지 않은 것 같다”면서 “사적모임 숫자(인원) 제한(축소) 외에 영업시간 단축과 같이 더 강하게 하지 않은 것은 민생경제를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 그 이후에 여전히 나타나는 현상은 엄중한 상태”라며 “이런 상황과 함께 민생경제를 고려한 판단이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급증에 따라 의료체계도 정비해야 한다는 의료 현장의 요구에 대해서는 “병상 대기자 숫자가 줄어들지 않는 등 엄중한 상황에 대한 위험도 및 의료체계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를 다시 해서 방역 강화 부분을 고민해야 될 상황이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