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만4518명 발생한 27일 ‘오미크론 변이’ 특별 브리핑에 참석해서 한 말이다. 이날 브리핑에 참여한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하루 10만 명 이상이 확진되는 수준에서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 청장의 발언은 이를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다.
같은 날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없이 오미크론 유행을 관리하는 게 기본적인 방향”이라고 했다. 그는 또 “(확진자 급증에) 필요 이상으로 공포를 가지면 대응하기 어려워진다”고도 했다. 의료계 안팎에선 우리도 미국, 영국처럼 확진자 수에 관계없이 방역 빗장을 풀고 ‘위드(with) 코로나’로 나가는 ‘포석’을 놓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 중환자 감소, 오미크론 경증에 기조 전환
정부는 60세 미만 건강한 성인 등 저(低)위험군에게는 현재 유행하는 오미크론 변이가 크게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민경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대표적 증상은 콧물, 두통, 기운 없음, 재채기, 발열 정도”라며 “중증도와 관련 있는 고열 등의 증상은 델타에 비해 확실히 가볍고 짧다”고 했다.
이러한 경향은 통계로도 확인된다. 27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350명이다. 4차 유행 정점에 1100명대까지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30% 수준이다. 확진자가 크게 늘고 있지만, 중환자 관리가 안정적인 만큼 거리 두기를 강화할 필요가 없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오미크론 전파력이 워낙 강해 기존의 사회적 거리 두기로 확산을 틀어막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도 반영됐다. 실제 ‘인원 제한 6인, 시간 제한 9시’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유지하고 있는데도 최근 확진자는 일주일 만에 2배로 늘었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중국이 취하는 수준의 ‘봉쇄’가 아닌 이상 거리 두기로 오미크론을 막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방역당국 고위 관계자는 “앞으로 오미크론 확진자가 매주 2배씩 늘어날 텐데, 그 때마다 접촉자를 모두 격리하면 사회 필수 시설에서 일할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방역 회의론 우려, 잘못된 메시지”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방향전환이 국민들에게 그릇된 방역 인식을 심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더 이상 방역할 필요가 없다”는 등 ‘방역 무용론’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방역방향 전환이) 자칫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 감염병 유행 확산을 방치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질 소지가 있다”며 “방역당국은 감염병 피해 최소화를 위해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낮다고는 해도 이대로 두면 하루 확진자가 10만, 20만 명까지 늘어나고 중환자와 사망자 수도 감당하지 못할 만큼 늘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한 번 걸렸던 사람이 다시 감염되는 ‘재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델타에 비해 재감염률이 16배 높았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인체 면역을 회피하는 성향이 강해 코로나19에 걸린 뒤 완치됐거나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도 안심할 수 없다.
이렇듯 오미크론 대유행을 앞둔 상황에서 방역당국의 기류는 지난 유행들과 사뭇 달라졌다. 1~4차 유행이 본격화하던 시점마다 방역당국은 철저한 방역 조치를 통한 유행 최소화를 강조해 왔다. 그런데 이번엔 오히려 자가 격리 기준을 완화하고 60세 미만에 대해선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제한하는 등 방역을 완화하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