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확진, 두달만에 50만 →100만명… 위중증도 다시 증가세
신규확진 3일연속 4만 육박할듯
PCR검사 5명중 1명 확진 판정
‘100만9688명.’
6일 0시 기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다.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유입 후 748일 만에 누적 확진자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확진자 증가에 가속도가 붙으며 지난해 12월 10일 누적 50만 명을 넘은 뒤 약 2개월 만에 100만 명을 넘겼다.
6일 발표된 신규 확진자는 3만8691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전날(3만6362명)에 이어 이틀 연속 4만 명에 육박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달 30일(1만7526명)의 2.2배, 2주 전인 지난달 23일(7626명)의 5.1배로 급증했다. 검사 건수가 줄면서 확진 규모도 감소하는 ‘주말 효과’도 사라졌다. 7일 발표될 확진자 수도 3만 명대 후반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전체 검사 수 대비 확진 비율(양성률)도 일주일 전보다 4배가량 높은 20.8%까지 급증했다.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는 사람 5명 중 1명은 확진 판정을 받은 셈이다.
한동안 줄어들던 위중증 환자 수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6일 위중증 환자는 272명으로 4일(257명), 5일(269명)보다 늘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7만 명대 확진자가 2주 정도 지속되면 델타 변이 유행 당시처럼 의료 체계가 한계에 다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확진자 급증으로 경증·무증상 관리 체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6일 0시 기준 재택치료 환자 수는 12만8716명으로 관리 한계치(약 15만 명)의 86%까지 증가했다. 광주에서 재택치료를 받던 고교생 A 군(17)이 격리 해제 나흘 만인 4일 코로나19로 인한 폐색전증으로 숨지는 등 관리 체계의 허점도 드러나고 있다.
[오미크론 대확산] 재택 ‘10→7일’ 완화속 관리사각 우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재택치료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6일 0시 기준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 수는 12만8716명. 지난달 30일 6만6972명과 비교해 일주일 사이 2배 수준으로 늘었다. 정부가 발표한 관리 한계치(약 15만 명)의 86%에 이른다.
앞서 정부는 4일 “코로나19 확진자를 계절독감 환자처럼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곧바로 각종 지표들이 악화하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재택치료 급증 시 관리 사각지대 우려
방역당국은 지난달 26일 백신 접종을 완료한 재택치료 환자의 격리 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줄였다. 그런데 재택치료 관리 지침 완화 이후 재택치료를 받은 10대 학생이 격리 해제 후 급격히 상태가 악화돼 숨졌다. 격리·치료 지침 완화로 환자 관리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광주시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광주의 고교생 A 군(17)은 지난달 24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A 군은 확진 후 10일 만인 3일 오전 두통과 호흡 곤란을 호소해 전남대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이튿날 숨졌다. 전남대병원은 A 군의 사망 원인을 코로나19로 폐에 혈전이 쌓인 폐색전증으로 추정했다. 이전 지침대로라면 A 군의 상태가 악화된 날은 격리 상태에서 의료진의 모니터링을 받아야 할 시점이었다. 하지만 바뀐 지침에 따라 지난달 31일까지만 모니터링을 받았다.
현재 방역당국 지침상 재택치료자가 7일 동안 증상이 없거나 호전된 경우엔 유전자증폭(PCR) 검사 없이 격리 해제 대상이 된다. A 군은 확진 초기 발열, 기침, 인후통 증세를 호소했지만 7일 차인 지난달 31일 증상이 완화되고 체온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돌아와 추가 검사 없이 격리 해제됐다. A 군은 백신을 2차까지 맞았고, 체육을 전공할 정도로 건강해 기저질환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A 군과 같이 격리 해제 후 갑자기 증상이 악화하는 사례가 앞으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횟수가 줄며 관리 사각지대가 더 늘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제한된 의료 대응 능력을 고위험군에 집중 투입해야 하는 만큼 재택치료자 관리를 다시 강화하긴 어렵다. 기저질환자는 격리 해제 후라도 추가 모니터링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완치 후에도 혈전증 같은 치명적인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정부가 ‘독감처럼 관리하겠다’고 말할 때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 늘어나는 확진자에 위중증 환자도 증가세로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이 국내 우세종이 된 시점(1월 16∼22일)으로부터 2주 정도 지나면 위중증 환자가 연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해 왔다. 이에 따르면 이번 주부터 위중증 환자가 본격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미 위중증 환자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때 1100명이 넘던 위중증 환자 수는 4일 257명까지 줄었지만 주말을 기점으로 감소세가 꺾여 6일 272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11, 12월 병상대란 당시 인천 가천대길병원의 중환자 병상은 23개가 거의 다 찼었다. 이 병원의 중환자 수는 지난주 3명까지 감소했지만 6일 7명으로 늘어났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안 좋은 신호가 여기저기서 보인다. 중환자가 늘어나고 입원 후 퇴원했던 환자가 다시 증상이 악화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검사 대비 확진 건수도 크게 늘어 1주일 전 5% 수준이던 검사 양성률은 6일 0시 기준 20.8%까지 증가했다. 검사 인력의 부담이 커지자 정부는 선별진료소에서 종이로 발급하는 ‘음성 확인서’를 문자메시지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이 조치로 선별진료소 혼잡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