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지만 출근해도 되는지 확신이 안서네요. 회사도 혼란스러워하고 보건소는 통화가 안되고… 차라리 PCR 검사 받는 게 훨씬 더 깔끔할 거 같네요”
급증하는 코로나19 확진자에 대응하기 위해 오미크론 대응체계가 가동됐지만 여기저기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오미크론 대응체계의 핵심인 신속항원검사와 동네의원 진료에서 차질이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PCR(유전자증폭) 검사 문턱을 좀더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0일 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정부는 고위험군만 PCR검사 실시하고, 일반환자군은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실시한 후 결과에 따라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재택치료 모니터링은 60세 이상의 집중관리군에 한해 실시하고, 일반환자 관리군은 필요시 동네 병의원 전화 처방 또는 24시간 재택치료 의료상담을 받도록 했다.
◇ 신속항원검사 ‘믿을수도 안 믿을수도’…바뀐 시스템도 적응 난항
선별진료소에서 만난 시민들은 신속항원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면서도 이전 PCR 검사와 달리 새로 도입된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의사 박해찬씨(29)는 “PCR은 의료진이 찔러주고 나머지도 알아서 처리해주는 것 같은데, 신속항원검사는 직접 찌르는 것의 정확도도 우려되고 불편하다”며 “격리 원칙이 자주 바뀌어서 가족이 확진된 이후 출근을 해도 될지에 대한 문의도 회사말과 공공기관 말이 서로 다를 때도 있고 연락체계를 재정비해야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문영광씨(37)도 “가수 시아준수도 신속항원검사 5번하고 PCR서 양성이 나왔다고 하더라”며 “급하다니 하긴 하는데 결과를 100% 신뢰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불안감을 나타냈다.
반면 근처 시장에서 일한다는 김영민씨(43)는 “이틀에 한번씩 코로나 검사를 받게 돼 있는데 빨리 검사결과를 받을 수 있어 편해졌다”며 15분만에 결과가 나오는 신속항원검사를 환영하기도 했다.
바뀐 선별진료소의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실제로 이날 서울시청광장에 설치된 임시선별검사소에는 줄이 생겼다 사라졌다를 반복했다. QR 인증이 도입돼 대기순번을 받을 수 있어 줄을 설 필요가 없지만, 이를 제대로 모르는 시민이 줄을 서면 그 뒤로 다른 사람들이 줄을 섰기 때문이다.
직장인 최모씨(54·여)는 “나이있는 사람들은 도와주는 사람이 없으면 힘들다”며 “바꾸는 것도 좋지만 우리같은 보통 사람들은 적응하기가 힘들다”고 손사래를 쳤다.
◇자가검사키트 “구할 수가 없다”…“일반 환자들 불안해 해”
집에서 신속항원검사를 할 수 있는 자가검사키트를 구하기 힘든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현재 신속항원검사를 할 수 있는 곳은 선별진료소뿐만이 아니다. 지난 3일부터 일부 동네병·의원에도 신속항원검사 체계가 도입됐으며, 약국·편의점 등에서도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구매해 직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동네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지난 9일 오전 서울 장승배기역 옆 동작구청 선별 검사소에 신속항원검사를 받으러 온 김모씨(79)는 “상도동에 거주 중인데 멀긴 하지만 지하철을 타고 왔다”고 밝혔다. 김씨는 가까운 동네 병원에서도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다고 알려주자 놀란 표정으로 “몰랐는데 어디서 알아봐야 하느냐”고 되물었다.
약국·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자가검사키트를 구하기 어렵다는 불만도 터져 나오고 있다.
동작구의 한 약국을 방문했지만 검사 키트는 이미 품절이었다. 약사 A씨는 “보통 회사에서 대량으로 사가거나, 100개 단위로 사는 사람도 있다”며 “설 지나고부터 키트 가격도 2배 정도 비싸졌는데, 1개짜리가 2개짜리로 나와서 뛰기도 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귀띔했다.
A씨는 “병원 중에는 신속항원검사 도입하고 싶어도 코로나 환자 분리가 어려워 못하는 병원들도 많다고 들었고, 실제로 주변 병원 중에는 하나도 없다”며 “다른 환자들이 전화해 신속항원검사 하는 곳 아니냐 묻고 아니라 하면 오히려 안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 “자가격리 끝나야 재택치료 키트 받을 판…전화도 안돼”
사실상 ‘각자도생’ 상황에 처한 자가격리·재택치료자들은 새로운 관리 체계에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밀접접촉자로 격리돼 아이와 함께 2월2일 확진 판정을 받은 40대 주부 임모씨는 “확진 격리 5일차에 울렁거리고 잔기침이 심해져서 병원에서 전화왔을 때 상태를 말씀드리고 비대면 진료를 받기로 했었다”면서도 “약 처방을 해준다고 했는데 비대면 진료 후 약은 뒤늦게 오고, 받은 약도 기침감기약과 가글이 전부였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지난달 31일 확진 판정을 받았던 20대 직장인 B씨도 “가족이 함께 확진이 돼 자가격리 기간이 너무 길어 문의하려고 보건소와 재택치료팀에 전화를 걸었지만 전화를 안받고, 전담공무원은 자기관할이 아니라 하고, 질병청에서는 지역마다 다르니 관할 보건소에 물어보라고 했다”며 “보건소에 전화를 50통을 한 뒤 결국 포기하고 연락을 기다리는데, 필요할 때 연락이 안되니 너무 답답하다”고 말했다.
B씨는 “자가격리 3일째에 모니터링에 들어가 재택치료 키트를 받았는데, 함께 확진된 지인 중에는 10일 격리기간 중 6일차에 약은 커녕 재택치료 키트도 못받은 사람도 있다”며 “격리 끝나고 키트를 받을 판”이라고 답답해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