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현재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응이 풍토병 관리의 초입 단계라고 밝혔다. 코로나19가 풍토병이 되고 있으며, 그에 맞춤한 관리가 시작됐다는 의미다.
당국은 “현재 오미크론의 전파력 특성과 중증화·치명화율 특성을 볼 때 공존하기 위한 체계로 이행한다는 의미”라면서 ‘자연면역을 용인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꾸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상회복이 다시 시작될 때 이전 단계적 일상회복 안이 아닌 다시 구상한 안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 오미크론 중증화율·치명률 델타의 4분의1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2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상황에 대해 “위험도를 계속 확인하면서 풍토병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라며 “유행을 관리할 수 있다면 오미크론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중증, 사망위험이 월등히 높은 미접종자와 60세 이상의 고령층의 감염을 최소화하는 데 오미크론 대응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박향 반장은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은 0.38%, 치명률은 0.18%로 델타 변이 대비 4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계절독감과 비교해선 2배 높다. 이어 “오미크론도 60세 이상과 미접종자에게서는 치명률이 더 높아지는 특성은 델타와 동일하다. 다만 치명률 자체는 더 낮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반장은 “접종을 완료한 50대 이하는 치명률은 0에 가깝게 위험도가 떨어진다”며 “앞으로 중증과 사망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의료체계 대응 여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려 한다”고 말했다.
◇ 고령층과 미접종자는 두 위험 집단…방역패스는 유지
다만 당국은 방역패스 등은 정점이 되기 까지는 보수적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의 치명률이 낮아지고 있지만, 계속 위험성이 있는 인구 집단은 60세 이상 고령층, 미접종자 두 집단”이라며 “미접종자는 12세 이상의 6%, 18세 이상의 4%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지난 8주간 발생한 중환자 전체의 62.1%, 사망자의 65.4%를 점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들의 감염을 차단하고, 미접종자들로 이한 감염 전파를 막기 위한 목적의 제도”라며 “현재 중환자나 사망자에서의 피해나 의료체계에 소요되는 자원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오미크론 유행이 어느 정도 정점을 지나 안정화되면, 현재 적용 중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조정하는 방안, 방역패스를 축소 및 조정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코로나19를 풍토병으로서 관리한다는 것이 현재의 방역체계를 억제책 대신에 자연면역 획득으로 전환한다는 의미는 아니라면서 “오미크론과의 공존체계 이행으로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유행 정점이 지나 적절한 시기가 되면 새로운 일상회복 방안을 계획해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시행됐던 일상회복 방안은 오미크론이 아닌 델타 변이를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손 반장은 “작년 11월에 발표했던 일상회복계획은 그 당시 델타의 위중증률 ·치명률과 유행 상황 등을 고려하면서 만들었던 계획”이라며 “현재 오미크론 유행 특성에 맞게 어떤 부분들의 위험도를 더 낮게 보고, 어떤 부분들의 일상회복을 조금 더 빠른 속도로 가야 될지 등에 대해 다시 개편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확진자 통보받으면 그 직후부터 비대면 진료기관 진료 가능
방역 당국은 브리핑에서 그간 재택치료 과정 등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해명하거나 개선책을 내놓기도 했다.
최근 재택치료 환자가 급증하면서 보건소가 이들에 기초역학조사를 진행하는 데도 시일이 오래 소요돼 의료 공백이 생길 수 있는 우려에 대해서 방역 당국은 “확진자로 통보받은 직후 비대면 진료 의료기관에 전화하면 진료와 약 처방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반장은 “분류 전이라도 확진 통보를 받았다면 의료기관을 통해 약을 받을 수 있다. 투약을 하루라도 빨리 받아야 증상 완화가 쉽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먼저 안내하겠다. 보건소에 인력이 충원되고 있지만 지연되는 부분이 있어 미리 알리겠다”고 부연했다.
또 119를 불러도 병상이 있는 병원으로 원활히 연결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기존에는 종합안내센터에서 병원을 배정했지만 확진자 격리병상만 따로 떼어내어 구급대원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발생한 7개월 영아 이송 중 사망사건에 대해서는 “소아과 전문의가 없어 병원 수용이 늦어졌다”면서 “해당 환자가 7개월로 매우 어린 영아이고 청색증까지 보여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을 찾기 어려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아의 경우 응급실에 병상, 격리실 여부도 중요하지만 소아를 볼 수 있는 의료진이 있는지 여부도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