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택치료 확진자 수가 50만명에 육박하면서 이들에 대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도 과부하 상태를 맞고 있다.
재택치료자들은 보건소는 물론 병·의원과의 전화 연결도 어렵다며 불편을 토로했다. 특히 채택치료 환자 사망 사례가 잇따르자 당국의 부실한 응급 상황 대처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22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49만322명이다. 이는 지난 15일 24만5940명에 비하면 2배 넘게 늘어난 수치다.
최근 1주간 (2월 16~22일) 재택치료자는 ‘26만6040명→31만4565명→35만1695명→40만1137명→45만493명→46만9384명→49만322명’의 추이를 보였다.
채택치료자 수가 폭증하면서 방역 당국의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택치료자들은 보건소는 물론이고 병·의원과도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형편이라고 입을 모은다.
시민 구모씨(36)는 “보건소에 전화를 수십번 해도 통화 중이라는 답변만 들려온다”며 “병원에 전화하면 앞에 비대면 진료를 기다리는 사람이 많다고만 한다.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직장인 공모씨(44)는 “타 지역에서 확진자들이 재택치료를 받다 사망하는 경우가 나오는데 왜 그런지 알 것 같다”며 “수십, 수백번의 시도 끝에 연결이 되도 속시원한 답변은 나오지 않는다. 자율에 모든 것이 맡겨져 있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 재택치료자가 응급 상황에서 숨지는 사례도 잇따랐다.
지난 18일 확진 판정 뒤 집에 머물던 50대가 19일 자택에서 사망했고, 같은 날 부모와 함께 코로나19에 확진돼 재택치료를 받던 7개월 영아가 고열증세를 보였으나 병상확보가 늦어지면서 목숨을 잃었다.
이때문에 검사부터 치료까지 혼자 다 책임져야하는 일반관리군을 중심으로 응급상황이 생겼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고위험군은 본인과 무관하게 동거가족에 의해 코로나19에 걸리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동거가족에게도 방역수칙을 잘 지키도록 해야한다”며 “가족 중 확진자가 생겼을 경우 어떻게 대처할지 매뉴얼을 만들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1인 가구는 감염 후 치료약을 받으러 약국에 나가기도 쉽지가 않고, 응급상황 시 전화를 걸기도 어렵다. 가급적이면 의료진이 24시간 상주하는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확진자 통보를 받은 직후부터 비대면 진료 의료기관에 전화해 진료와 약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며 “아울러 응급 상황에 처한 확진자를 위한 격리병상을 따로 마련해 구급대원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시스템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