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터전 잃은 산불 피해 주민들
“어디 가서 뭘 할지 살길 막막” “새 집 지어준 자식들에게 미안”
급히 피하느라 옷가지 하나 못챙겨
70대 “농기계 다 타버려 농사 포기”…불탄 고향집 찾은 자녀 “마음 아파”
울진 등 이재민 6497명, 391곳 소실
“마을에 50가구가 사는데 30가구 넘게 집이 불에 몽땅 탔다고 해요. 일흔을 넘긴 나이에 어디 가서 뭘 해 먹고살아야 할지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합니다.”
경북 울진군 울진읍 국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에서 5일 만난 장인열 씨(73)는 긴 한숨부터 쉬었다. 장 씨의 집은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지역 중 하나인 울진군 북면 소곡1리에 있다. 산불로 이 마을에서만 전소된 주택은 41채다. 장 씨의 집은 간신히 화마를 피했지만 창고가 모두 불에 탔다. 장 씨는 “값비싼 농기구가 창고에 있었는데 싹 다 타버렸다. 올해 농사는 아무래도 포기해야 할 것 같다”며 답답해했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으로 울진·삼척 화재 때문에 대피한 주민은 6497명에 달한다. 주택 창고 등 시설 391곳이 소실됐다.
○ “자식들 돈으로 집 고쳤는데…”
4일 오전 11시 16분 울진군 북면 두천리 마을에서 신고 접수된 불은 남서풍을 타고 2∼3시간 만에 인근 마을 전체를 삼켰다. 두천리 북쪽으로 8km가량 사이에 있는 소곡1리, 신화2리의 피해가 특히 심했다.
5일 이재민 대피소에 자리를 잡은 소곡1리 주민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며 마음을 진정시키려 애쓰는 모습이었다. 울진국민체육센터 2층 체육관에 마련된 은색 돗자리 위에 앉아 있던 남정희 할머니(80)는 ‘집은 괜찮으냐’는 동아일보 기자의 질문에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할머니는 “2년 전 자식들의 도움으로 집을 새로 지었는데,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에 타버렸다”며 “남편을 먼저 보내고 혼자 살고 있는데 어떻게 살아갈지 막막하다”고 했다. 급하게 대피하느라 옷가지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할머니는 외투도 걸치지 못한 채 긴팔 티에 얇은 조끼만 입은 차림이었다. 추위에 몸을 웅크리던 할머니는 인터뷰 도중에도 여러 차례 “자식들에게 미안하다”며 눈물을 훔쳤다.
같은 마을에 사는 김순남 할머니(81)는 4일 오전 사전투표를 마친 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불이 났다는 소식을 듣고 대피소로 발길을 돌렸다. 할머니는 “대피소에 있다가 지난해 자식들 도움으로 새로 고친 집이 다 타버렸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망연자실한 표정을 지었다.
○ “6남매 살던 집인데”… 화마가 삼킨 고향집
산불 소식을 접하고 부모님이 사는 고향으로 달려온 자식들도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5일 오후 북면 신화2리 어머니 집 앞에 서 있던 전모 씨(52·울산)는 “연락을 받고 대피소에 계신 어머니를 대신해 집에 왔다”고 했다. 집은 폭삭 무너져 내렸고 검은 잔해만 남아 있었다. 차에서 내려 천천히 집으로 발길을 옮기던 전 씨는 “이거 참…”이라며 탄식을 내뱉었다.
전 씨는 언론에 보도된 산불 피해 사진을 보던 동생이 ‘여기 우리 집 같다’는 말을 할 때까지만 해도 ‘설마’라고 여겼다. 전 씨는 “여섯 남매가 이 집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함께 살았다”고 말한 뒤 휴대전화를 꺼내 불에 탄 집 구석구석을 찍었다. 기자에게 “가족 형제들에게 굳이 불에 타 쓰러진 집 사진을 보낼 생각은 없다. 마음만 더 아프지 않겠느냐”며 한참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집 주변을 서성였다.
소곡1리가 고향이라는 장모 씨(44)는 “여기가 부모님과 함께 살았던 본가이고 근처에서 직장 생활하며 부모님 농사일을 돕고 있다”며 “처음 두천리에서 불이 났다고 했을 때 통신 장애로 부모님과 연락이 안 돼 속이 탔다”고 했다. 그는 “다행히 부모님은 무사히 대피했는데, 농기계와 비료가 모두 타버려 앞으로 농사일이 걱정”이라고 말했다.
울진군 관계자는 “진화 작업이 끝나는 대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확한 피해 규모를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 0